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Nano & Porous Materials Lab.

숙명여자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최경민 교수 화공생명공학부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재료/신소재공학

연구실 소개

저희 다공성 나노재료 연구실은 나노 및 다공성 소재의 혁신적인 설계와 응용을 통해 에너지와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특히 금속-유기 골격체(MOFs), 금속-유기 단위입자(MOPs), 다공성 고분자 등의 나노구조체를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과 환경 개선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첨단 소재의 구조적 특성과 물성을 제어함으로써, 실질적인 산업 응용이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경민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 전환, 수소 생산 및 저장, 고순도 가스 분리, 고효율 촉매 개발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루고자 합니다. 특히, 저희 연구실은 다공성 소재의 표면과 기공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최적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배터리, 광촉매 시스템, 동위원소 분리 기술 등의 다양한 응용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와 환경 기술의 핵심을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맞닿아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학제 간 융합과 협력을 통해 미래 에너지와 환경 기술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며, 차세대 연구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에 열정을 가진 학생들과 함께,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해나가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저희 연구실은 새로운 도전과 혁신을 통해 전 세계적인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이어가겠습니다.
금속-유기 골격체 (MOFs)
이산화탄소 전환
다공성 나노재료
고순도 가스 분리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연구실 세부 키워드

금속-유기 단위입자 (MOPs)
인공광합성
항산화 물질 전달
동위원소 분리
리튬-황 배터리
고효율 광촉매
생체적합성 나노소재
나노다공성 구조체
가스 흡착 및 정제
분자광촉매
Nano & Porous Materials Lab.shield check icon
숙명여자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화공생명공학부
최경민 교수

대표 연구 분야 01

에너지 저장 및 변환을 위한 다공성 소재 설계와 활용

에너지 저장 및 변환 기술의 핵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MOF(금속-유기 골격체)와 나노소재의 융합을 연구합니다. MOF는 독특한 구조적 유연성과 높은 기공도를 가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화학 반응에서 이온과 전자의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향성을 포함합니다: A. MOF와 나노소재의 융합 설계 MOF와 나노입자, 나노와이어, 탄소 기반 나노소재를 결합하여 다기능성을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MOF의 높은 기공도를 이용해 나노소재를 내장하고, 이 조합이 전기화학적 반응의 속도와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 MOF의 구조와 화학적 특성을 조정하여 특정 에너지 응용에 최적화. - 나노소재와의 결합으로 표면적 증가 및 전도성 강화. B. 다층 MOF-금속 구조 설계 다중 금속층과 MOF 층을 결합하여 복잡한 촉매 반응을 유도합니다. MOF의 구조적 특성을 활용해 반응 분자의 확산을 제어하고, 다단계 촉매 반응을 가능하게 하여 촉매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C. MOF 내부 나노소재 내장 MOF 기공 내 나노소재를 정밀 배치하여 반응 경로와 화학 반응의 선택성을 제어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소재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반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응용 분야] 연료전지 및 메탈-에어 배터리: 고기공성과 높은 전도성을 가진 MOF-나노소재 복합체를 전극으로 활용하여 성능 및 내구성 향상. 슈퍼커패시터: 높은 표면적과 빠른 이온 이동을 제공하는 전극 설계.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및 변환: 효율적인 이온 전도와 반응성을 제공하는 전극 및 촉매 개발. [협업 가능성] 배터리 및 에너지 기업: 에너지 저장 장치 성능 향상을 위한 소재 공급. 촉매 기업: MOF-기반 촉매의 상용화 기술 지원. 환경 기술 기업: 이산화탄소 전환을 포함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개발.

주요 프로젝트

1

인프라 고도화: 시공간멀티오믹스 기반 근골격계 질환기전 규명 및 치료제 개발

한국연구재단

난치성 노화 근골격계 질환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 치료 기전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임. 질환의 진행 단계별로 유전체, 단백체, 대사체, 지질체 데이터를 포함한 시공간 다중오믹스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함. 이를 통해 질환 진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분자적 특징과 병리적 변화를 정밀하게 해석함. 데이터 분석의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화된 분석 프로토콜과 시각화 플랫폼을 구축함. 대규모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정제하고 통합하여 재현성과 신뢰성을 확보함. 이러한 과정에서 질환 진행 단계별로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치료 타겟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후보 물질을 제시함. 연구 결과는 근골격계 질환의 병리학적 이해를 심화시켰으며,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함. 난치성 근골격계 질환 연구와 관련된 기존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성을 제시한 중요한 성과로 평가됨.

2024.05 - 2029.01

기타 프로젝트

근육피지옴 연구센터

한국연구재단

근육피지옴 연구센터는 급속한 인구 노령화와 만성 대사질환 증가로 인한 근육질환 치료 기술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연구기관으로, 근육다이나믹스 기반 근육질환 제어 핵심표적 및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임상에 적용 가능한 치료 원천기술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세포와 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운동 효과 핵심표적과 근육-운동신경 및 근육-간 간의 인터렉톰을 연구하며, 근육줄기세포의 비대칭분열 신호전달 기전과 대사질환 단계별 도출된 organokine의 치료 효용성을 검증함. 또한, MOF 기반 물질방출체를 개발하고 합성 및 천연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근육질환 제어물질을 발굴하며, 임상데이터와 결합해 치료 후보물질의 안전성을 검증하여 신약 개발로 연결함. 본 연구는 근육다이나믹스 연구 분야를 선도하며, 창의적 융합형 연구인력 양성과 의약・제약산업의 혁신적인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2022.05 - 2029.01

금속유기-단위입자(MOP) 내 분자광촉매의 이종기능결합을 통한,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수계 광전환을 위한 고효율 및 고안정성 광촉매 개발

한국연구재단

본 연구는 금속유기-단위입자(MOP)에 분자광촉매와 이종기능기를 결합하여,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물 속에서 선택적으로 포집 및 변환할 수 있는 고효율 및 고안정성 광촉매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둠. 이를 위해 MOP 내부에 태양광을 흡수하는 염료와 이산화탄소 집게 역할을 하는 이종기능기를 도입하여, 이산화탄소 변환 효율을 증대하고 분자광촉매의 안정성을 확보함. 기존 광촉매가 유기용매에서만 작동하던 한계를 극복하고, 물 기반 반응 시스템에서도 높은 선택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며,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해 재생 연료 및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에 활용 가능하도록 설계됨. 본 연구는 광촉매 기술의 응용 영역을 확대하고, 새로운 촉매 설계를 통해 균일계와 불균일계 촉매의 장점을 결합한 혁신적인 촉매 소재로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에너지 변환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2022.02 - 2025.01

반도체 에칭 및 이온 임플란트 공정용 특수가스(초고순도 불화수소 (HF), Xe, Kr)의 흡착 기술 및 선택적 흡착제 개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반도체 에칭 및 이온 임플란트 공정에서 사용되는 초고순도 특수가스(HF, Xe, Kr)의 선택적 흡착 기술 및 흡착제 개발을 목표로 한 연구임. MOF(금속-유기 구조체)를 활용하여 불화수소, 제논, 크립톤의 분리 및 농축을 위한 흡착제 후보군을 선정하고, 최적의 기공도와 화학적 작용기를 가진 흡착제를 개발함. 기체상태 불화수소에 포함된 불순물 선택적 제거와 MOF 기반 분리공정의 흡탈착 및 재생 조건을 설계함. Genetic algorithm과 PSO algorithm을 통해 공정 최적화를 수행하고, 경제성 분석과 전과정 평가(LCA)를 통해 공정의 효율성을 검증함. 기대효과로는 MOF를 기반으로 한 Xe 및 Kr 농축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기술의 국산화를 통해 희귀가스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미래 첨단 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 공기분리장치 없이 고순도 특수가스를 생산할 수 있어 시설비 절감이 가능하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수요처 기반의 안정적 매출이 기대됨. 국산화와 동시에 국제적으로 특수가스 흡착제 기술을 확장하여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공급망 안정화를 통해 특수가스 가격 안정화에도 기여할 전망임.

2023.03 - 2025.02

분자간격 조절 플랫폼 소재 라이브러리 구축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본 연구는 분자간격 조절 플랫폼 소재 라이브러리 구축을 목표로, 특수가스 분리 및 재생의료 제품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 가능한 다목적 InCube 소재를 개발함. 특수가스 분리 분야에서는 0.2~0.5nm 기공 구조를 갖춘 InCube-120 소재를 설계하여 희귀가스 및 특수가스의 선택적 분리, 농축, 저장 기술을 구현하며, 이를 기반으로 대량생산 최적화와 실용화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함. 재생의료 제품 분야에서는 면역성 사이토카인 제거용 InCube-510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제거용 InCube-520 소재를 설계하고, 단백질 흡착 성능과 pH 변화에 따른 소재 특성을 검증하여 효율성을 입증함. 개발된 소재 라이브러리는 특수가스 정제 및 운송 장치, 약물 없는 피부질환 치료제, 기능성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에 응용될 가능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협력기관과의 연계를 바탕으로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사업화를 추진함. 본 연구는 분자간격 조절 기술을 통해 미래산업의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 잡으며,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2022.03 - 2024.02

산업미세먼지저감 및 화학안전관리 전문인력양성사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현장에서의 환경 규제와 안전관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미세먼지 및 화학안전 전문인력 양성 사업이 추진됨. 이 사업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을 주관으로, 숙명여대, 아주대, 인하대와 같은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5년간 150명의 현장 실무형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교육과정은 산업별 특화된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유/석유화학, 철강/발전소, 전기전자, 화학산업 등 주요 산업 분야에 맞춘 맞춤형 커리큘럼을 제공함. 사업은 교육과정 개발, 산학 공동프로젝트, 현장실습, 해외연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컨소시엄 기업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교육생들의 취업 연계를 지원함. 이 과정에서 미스매치된 산업미세먼지 및 화학안전 분야의 인력 수급을 개선하고, 중장기적으로 고용 안정성과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더 나아가, 선순환적인 고용 생태계를 구축하고, 타 대학에도 표준 교육 모델을 제시하여 사업성과를 확산시킬 예정임. 해당 사업은 전문 인재 양성과 함께 환경안전 분야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제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임.

2020.02 - 2025.01

타겟 기체의 분리 및 정제를 위한 MOF 연구재료의 개발 및 상용화

(재단)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타겟 기체 분리 및 정제를 위한 혁신적인 다공성 소재 MOF의 개발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임. MOF는 제논(Xe)과 크립톤(Kr) 같은 특수가스를 공기 중에서 분리하고 농축하는 데 사용되며, 높은 안정성과 최적의 기공 구조를 가진 소재를 설계하여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 필수적인 특수가스 정제 공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함. 연구는 MOF의 설계, 펠렛화, 대량생산 공정 개발 및 경제성 분석까지 포괄하며, 이를 통해 MOF를 활용한 고효율 분리 및 정제 공정의 상용화를 목표로 함. 이 과정을 통해, MOF 기반 분리 공정은 제논/크립톤 시장 점유율의 30%를 확보할 가능성을 가지며 약 8천만 달러 규모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됨. 또한, MOF 기술은 고순도 네온, 수소 등 다양한 특수가스 응용으로 확장 가능하여, 특수가스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임. 더불어, 직접 및 간접 고용 창출로 최소 9명 이상의 일자리 창출 효과도 예상됨. 본 연구는 특수가스 분리 기술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며 산업적, 국가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할 혁신적인 연구임.

2021.03 - 2023.11

재생물질의 정량적 서방출을 위한 기능성 필러 QT-Carrier 개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본 연구는 활성 재생물질의 선택적 및 정량적 방출을 목표로 차세대 기능성 필러 QT-Carrier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둠. 생체 친화적 창고형 담지체를 설계하여 재생물질의 선택적 담지 및 방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하고, 칼륨과 시클로덱스트린을 활용한 다공성 구조체를 기반으로 서방출 성능을 최적화함. 담지체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코팅되어 방출 지연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하며, 히알루론산(HA) 필러 제조공정에 통합하여 담지체 합성과 필러 생산을 단일 공정으로 실현함. 이를 통해 안전성, 효과, 안정성이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며, 조직수복용 생체제재 기술과 화학공학적 기술을 융합하여 국내외 의료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함. 본 연구의 성과는 특허 기반의 독보적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국가적 위상을 제고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비약적인 매출 증대와 고용 창출 효과를 기대함.

2022.08 - 2023.07

재생물질의 정량적 서방출을 위한 QT-Carrier 기능성 필러 개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활성 재생물질의 선택적 및 정량적 서방출을 목표로 차세대 필러 QT-Carrier를 개발하는 연구임. 생체 친화적 담지체와 코팅 기술을 기반으로 재생물질의 선택적 담지와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 시클로덱스트린과 칼륨을 활용하여 다공성 담지체를 제조하고, 이를 생분해성 고분자로 코팅해 방출 속도를 제어함. 담지체는 히알루론산(HA) 필러 제조 공정에 적용되며, 한번의 공정으로 담지체 합성과 필러 제조가 가능하도록 기술 개발을 완료함. 연구를 통해 차별화된 제조 기술과 독자적인 특허 기반의 필러 제품이 확보될 것으로 예상되며, 조직 수복용 생체제재 기술과 화학공학 기술 융합으로 향후 관련 분야의 전문 인재 배출에 기여함. 결과물은 국내 의료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을 열어 매출 증대와 고용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2022.05 - 2022.06

3D-다공성구조체 흡방출 기작을 활용한 항산화 원료 안정화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이 연구는 3D 다공성 구조체인 Encapsia를 활용하여 항산화 원료의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장품 제형 및 완제품 개발까지 확장하는 데 초점을 둠. Encapsia는 항산화 물질의 흡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다공성 구조와 표면 개질 기술을 통해 항산화 성분의 안정성을 극대화하며, 스킨, 토너, 로션 등 다양한 제형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됨. 연구 과정에서는 Encapsia 입자의 흡방출 특성과 표면 개질 효과를 최적화하여 비타민 C의 효과적 전달과 항산화 유지 능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제형 안정성 및 안전성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소비자 안전을 보장함. 본 기술은 화장품 스킨케어부터 헤어케어까지 확장 가능하며, 화장품 원료와 완제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B2B 맞춤형 화장품 개발을 통한 새로운 시장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2020.05 - 2022.05

항산화 성분 보호/전달을 위한 InCube 소재 개발 및 상용화

(재단)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랩인큐브 주식회사는 항산화 성분을 보호하고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소재 InCube의 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함. InCube는 약물을 담지, 보호, 방출하는 원천기술로, 상처 보호용 드레싱 패드와 화장품 원료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설계됨. 본 연구는 InCube 소재의 생산 공정을 확립하고, 시제품 개발을 통해 항산화 성분의 안정성과 효과를 극대화하며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함. 분말, 레진, 연고 등 다양한 형태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는 기술로, 분자생물학과 화학공학 기술이 융합된 이 연구는 융합형 인재 양성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됨.

2021.04 - 2022.11

지능형 항노화 약물전달 인캡슐레이션 기술 개발

(재단)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본 연구는 항노화 약물전달을 위한 지능형 인캡슐레이션 기술을 개발하여 기능성 필러,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InCube 소재를 설계하고 사업화하는 데 초점을 둠. InCube 소재는 항산화 물질과 같은 기능성 성분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장기간 서방출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필러 제조 공정에서 항산화 물질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거나, 건강기능식품의 장용성 성분 방출에 적용 가능한 담지체 기술을 포함함. 이 기술은 단순화된 대량생산 공정으로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정밀한 약물 방출 조절과 안정성으로 부작용을 줄여 고령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함. 또한, 의료기기 코팅 및 체내삽입형 성형물에 적용 가능한 약물 방출제 개발로 응용성을 확장하며, 해외시장에서는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와 수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음. 본 연구는 고기능성 소재의 상업적 활용과 의료,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분야의 혁신을 선도할 것으로 전망됨.

2021.06 - 2022.05

분자촉매를 가지는 금속유기-단위입자의 합성을 통한, 고효율 및 고안정성의 광, 유기 및 전기촉매 개발

한국연구재단

분자촉매의 고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금속유기-단위입자를 활용하는 연구로, 1~2nm 크기의 나노입자인 금속유기-단위입자는 분자촉매를 결합하여 기존 촉매의 안정성과 활성 저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음. 이 기술은 광촉매, 유기촉매, 전기촉매 등 다양한 화학 반응에 응용 가능하며, 이산화탄소 변환, 오염물 분해, 유기합성 등에서 높은 선택성과 효율을 제공함. 금속유기-단위입자의 크기와 기능기를 최적화하여 촉매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재사용 가능성을 높이며, CO2를 연료화합물로 변환하거나 유기합성에서의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등 지속 가능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함. 이러한 기술은 신소재 설계와 응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화학,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됨.

2019.05 - 2022.01

수소 에너지 생산, 저장 및 이용을 위한 다공성 신소재 개발 혁신인재 양성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수소 에너지의 생산, 저장, 활용을 혁신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다공성 신소재 개발과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연구임. 다양한 다공성 물질을 융합해 고성능 탈수소화 촉매와 전기화학적 저장 시스템을 개발하며, 금속-유기 골격체(MOF), 제올라이트, 금속 산화물 등 새로운 형태의 촉매와 전극 소재를 설계하고 합성함. 이를 통해 수소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전지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분야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 또한, 액상 유기수소 운반체를 활용한 수소 에너지 생산 촉매와 화학·전기화학적 반응에 안정적인 전극 물질을 개발하여 전지 성능을 개선하며, 부반응을 억제하는 가스분리막 기술도 도입함. 이 과정에서 국내외 연구소와의 협력과 해외 선진기술 도입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고, 수소 에너지 기술의 원천특허 확보 및 국내 에너지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연구는 다공성 소재의 설계와 응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수소 경제를 실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2019.05 - 2020.11

세포배양액 담지 구조체 개발

(재단)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세포배양액의 단백질과 유기영양소를 안정적으로 담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3차원 구조체를 개발하고 이를 필름 및 패치 형태로 제조하는 기술을 목표로 하는 연구임. 저온에서 광자극을 활용하여 구조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개발하고, 미세기공을 추가하여 기능성 성분 보호와 물성 조절을 최적화함으로써 연질 및 경질 필름 형태의 다양한 응용 제품을 제작함. 이 기술은 더마코스메틱(Dermocosmetic) 시장과 성형외과, 응급의학과, 피부과에서의 치료용 제품, 피부 미용 및 세포 재생용 마스크와 패치 등의 응용 가능성을 가지며, 단기적으로는 미용 제품에, 장기적으로는 치료제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사업화 잠재력을 제공함.

2019.04 - 2020.11

광자극에 반응하여 지속적인 상처수복물질 방출이 가능한 하이드로겔 개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광자극에 반응하여 지속적으로 상처수복물질을 방출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개발은 빛의 조사를 통해 자극에 반응하는 금속유기구조체(MOF)와 생체적합 하이드로겔을 융합한 혁신적인 기술 연구임. 숙명여자대학교의 MOF 제조기술과 (주)원바이오젠의 고흡수성 하이드로겔 기술을 결합하여, 광분해가 가능한 유기링커와 금속이온을 조립해 자극 분해성 물질 전달체를 제작하고, 이를 하이드로겔 내에 균질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상처 치료용 활성화 물질의 정량적이고 지속적인 방출을 가능하게 함. 개발된 제품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를 통해 안전성을 검증받으며, 상처치료 분야에서 지속적이고 능동적인 약물 방출이 가능한 새로운 치료 방법을 제시함. 이 연구는 상처수복 활성화 물질 전달 시스템의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며, 향후 상처치료용 의료소재의 상용화와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2019.05 - 2020.01

분자광촉매를 포함한 금속유기구조체와 플라즈모닉 나노입자의 결합을 통한, 고효율, 고안정성, 고선택성의 플라즈모닉 광촉매 개발

한국연구재단

광촉매의 효율과 안정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분자광촉매를 금속유기구조체(MOF)에 고정화하고, 이를 플라즈모닉 나노입자와 결합한 새로운 촉매를 개발하는 연구임. 이 기술은 MOF를 통해 분자광촉매의 안정성을 극대화하고, 플라즈모닉 효과로 빛의 에너지를 증폭시켜 촉매 반응성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둠. 특히,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하는 100% 선택성을 가진 광촉매를 개발하여 연료 재생산에 활용 가능성을 열며, 물분해와 오염물 제거 등 다양한 광반응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됨. 나아가 상업화를 목표로 대량생산 공정을 개발하고, 태양광을 활용한 차세대 에너지 변환 기술의 핵심 기반을 구축하여 환경 및 에너지 산업 전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2016.05 - 2019.04

Water 넥서스 다전자 연료변환 소재 개발

한국연구재단

태양광과 물을 활용하여 고효율 에너지 저장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연료변환 기술을 실현하는 연구임. 태양광의 전 스펙트럼을 활용해 물의 산화반응으로 양성자를 생성하고, 이를 다전자 연료변환 기술과 결합하여 포름산, 메탄올, 수소 등 높은 에너지 저장 밀도를 가진 연료를 생산함. 이러한 연료는 기존 배터리 대비 월등히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며, 상업화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평가됨. 재료 게놈 설계 플랫폼을 기반으로 소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설계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후보 소재의 검증과 최적화를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제고함. 또한, 연구소와 산업체 간 협력을 통해 기술 융합 가능성을 탐색하고, 국내외 시장 분석과 특허 전략 수립을 통해 조기 상업화를 목표로 함. 이 연구는 에너지와 환경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의 소재 경쟁력을 높이고, 국가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혁신적인 플랫폼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

2017.11 - 2018.02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연료생산 인공광합성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

이 연구는 태양광, 물,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액체 연료와 수소를 생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에너지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물 산화와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이를 지원하는 광촉매 및 하이브리드 촉매 시스템을 개발하여, 메탄올 등 액체 탄화수소와 수소 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함. 특히, 가시광을 활용한 반응기 설계와 핫전자를 이용한 촉매 활성화 기술을 통해 높은 반응 효율과 선택성을 제공하며,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구축함. 이 기술은 환경 및 에너지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혁신적인 산업화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됨.

2009.12 - 2010.11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학 기술

한국연구재단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 첨단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성장 동력 산업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임. 연구는 담수화 기술, 수소 경제를 위한 기술 개발, 물과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액화 탄화수소 연료 재생 기술 등 세 가지 핵심 분야에 중점을 둠. 이를 위해 담수화 공정의 물리적 기초 모델을 개발하고, 수소 생산과 저장을 위한 혁신적 나노구조 설계를 수행하며, 다공성 소재와 멤브레인을 활용한 연료 변환 기술을 설계함. 또한, 물리, 화학, 재료공학을 통합하는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복합적인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지식과 이론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고급 에너지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함.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을 국가 경쟁력의 기반으로 삼아 첨단 산업을 선도하고 경제적 도약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됨.

2008.11 - 2013.07

나노기공과 전이금속 혼성체를 이용한 수소저장용 나노튜브 제조

한국과학재단

수소 친화적 전이금속과 나노기공 구조를 결합하여 고용량 수소저장 성능을 구현하는 나노튜브를 개발하는 연구임. 상온과 50기압 이하의 조건에서 무게당 4wt%, 부피당 40kg/m³ 이상의 수소저장 용량을 목표로, 나노튜브 표면에 1nm 수준의 기공을 생성하고, 수소 친화도가 높은 전이금속 촉매를 분산시키는 기술을 확보함. 전이금속의 종류와 촉매 입자의 크기에 따른 수소저장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나노기공의 구조적 특성을 최적화하여 높은 저장 용량과 효율을 실현함. 본 연구는 수소저장 기술의 상용화와 차세대 에너지 저장소재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2006.03 - 2009.02

file-dashed-blue
해당 항목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경력

연구교수
KAIST (한국과학기술원)
2012 - 2012
Post Doc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3 - 2014
Post Doc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Berkeley Lab)
2014 - 2015
조교수
숙명여자대학교
2016 - 2021
부교수
숙명여자대학교
2021 - 2021

특허

2종 이상의 생체고분자를 이용하여 다공 및 중공 구조를 동시에 갖는 생체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10-2024-0024928
2024.02
지르코늄계 기반의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다공 및 중공 구조를 동시에 갖는 생체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10-2024-0024925
2024.02
싸이클로덱스트린 계열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다공 및 중공 구조를 동시에 갖는 생체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10-2024-0024926
2024.02
사이클로덱스트린 계열 다공성 물질 및 2종 이상의 생체고분자를 이용하여 다공 및 중공 구조를 동시에 갖는 생체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10-2024-0024927
2024.02
다공 및 중공구조를 갖는 생체고분자 입자와 이의 제조방법
10-2024-0024929
2024.02
금속 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10-2024-0013383
2024.01
기체 성분의 고순도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10-2023-0186458
2023.12
염소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 중에 존재하는 브롬이온의 제거 방법
10-2023-0164209
2023.11
금속-유기 골격체 및 실리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패치
18/274,716
2023.07
METAL ORGANIC COMPOSITE PARTICLES CAPABLE OF ADSORBING, STORING, OR RELEASING TWO OR MORE TYPES OF FUNCTIONAL SUBSTANC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PCT/KR2023/009884
2023.07
METHOD FOR PREPARING METAL-ORGANIC FRAMEWORK WITH LOW AMOUNT OF IMPURITIES WITHOUT WASHING, AND METAL-ORGANIC FRAMEWORK
PCT/KR2023/009879
2023.07
VOCs 흡착 및 탈착 방지 성능이 우수한 유기금속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물품
10-2023-0077052
2023.06
VOCs 흡착 및 탈착 방지 성능이 우수한 유기금속 구조체
10-2023-0062013
2023.05
다공성 생체 고분자 입자
10-2023-0014337
2023.02
금속유기골격체의 반응성 저감 방법 및 반응성이 저감된 금속유기골격체
10-2023-0010427
2023.01
MOF를 이용한 기체 성분의 고순도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10-2022-0159014
2022.11
크립톤 또는 제논 회수용 금속유기 골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립톤 또는 제논 회수장치
PCT/KR2022/018408
2022.11
2종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흡착, 저장 또는 방출할 수 있는 금속유기 복합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10-2022-0089639
2022.07
세척 공정 없이 불순물이 적은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방법 및 금속-유기 골격체
10-2022-0089377
2022.07
금속-유기 골격체 및 젤을 포함하는 체내 삽입용 보형물 충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iling internal prosthesis comprising metal-organic framework and gel)
10-2022-0086353
2022.07
SILICONE PATCH COMPRISING METAL-ORGANIC FRAMEWORK AND SILICONE COMPOSITION
PCT/KR2022/001646
2022.01
줄기세포의 분화가 가능한 나노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10-2021-0135498
2021.10
전기 이동수단의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10-2021-0093268
2021.07
CYCLODEXTRIN-BASED COMPOSITE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CT/KR2021/008046
2021.06
The cyclodextrin-based composite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21/008046
2021.06
다공성 골격체를 이용한 동위 원소 흡착제 및 동위 원소 분리 방법
10-2021-0073024
2021.06
특정 동위원소의 선택적 흡착을 활용한 가벼운 기체 동위원소 분리
10-2021-0054584
2021.04
METAL-ORGANIC FRAMEWORK HAVING VARIABLE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PCT/KR2021/002764
2021.03
고분자-금속유기 단위입자를 코팅한 수정 진동자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Crystal oscillator sensor coated with metal-organic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0-2021-0013210
2021.01
고분자-금속유기 단위입자를 코팅한 수정 진동자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10-2021-0013210
2021.01
EXTENDED-RELEASE TYPE METAL-ORGANIC FRAMEWORK USING CYCLODEXTR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21/001223
2021.01
금속 유기 복합입자,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조성물
10-2021-0005844
2021.01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CONTAINING METAL-ORGANIC FRAMEWORK
PCT/KR2020/018159
2020.12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Wound healing composition comprising metal-organic framework)
10-2020-0172690
2020.12
금속유기 구조체를 이용한 기능성 물질 흡방출 조절방법(A method for regulating the absorption and release of functional materials using metalorganic frameworks)
10-2020-0146526
2020.11
국소적으로 유연한 금속 유기 골격체 및 이를 이용한 동위원소 분리 방법
10-2020-0105433
2020.08
비타민 B1의 보호 및 전달을 위한 장용성 조성물
10-2020-0078748
2020.06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한 경구투여용 복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10-2020-0078731
2020.06
다공성 망 필름의 제조방법 및 다공성 망 필름
10-2020-0068636
2020.06
FACIAL MASK OR PATCH COMPOSITION USING OPTICAL STIMULATION AND COSMETIC PRODUCT COMPRISING SAME
PCT/KR2020/006331
2020.05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 SUPPORTING CELL CULTURE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 COMPRISING SAME
PCT/KR2020/006329
2020.05
금속유기구조체를 포함하는 다공성 섬유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porous fibers comprising metal-organic framework)
10-2020-0055943
2020.05
금속유기구조체를 포함하는 다공성 섬유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porous fibers comprising metal-organic framework)
10-2020-0055943
2020.05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이용한 경피투여용 금속유기 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Cyclodextrin based metal-organic framework for dermal administ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0-2020-0038594
2020.03
가변구조 금속유기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Variable structure metal-organic frame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0-2020-0028556
2020.03
가변구조 금속유기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Variable structure metal-organic frame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0-2020-0028556
2020.03
POROUS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METAL-ORGANIC UNIT, POROUS POLYMER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CT/KR2020/001793
2020.02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이용한 서방출형 금속유기 골격체 및 이의 제조방법(The Sustained releasing Structure Using Cyclodextrin-based Metal Organic Frame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0-2020-0010712
2020.01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10-2019-0167194
2019.12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체내 삽입물(Internal prosthesis comprising metal-organic framework)
10-2019-0157393
2019.11
금속-유기 골격체 및 젤을 포함하는 체내 삽입용 보형물 충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iling internal prosthesis comprising metal-organic framework and gel)
10-2019-0157501
2019.11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체내 삽입물(Internal prosthesis comprising metal-organic framework)
10-2019-0157393
2019.11
금속-유기 골격체 및 젤을 포함하는 체내 삽입용 보형물 충진용 조성물
10-2019-0157501
2019.11
나노 다공성 구조체 펠렛 및 이의 제조방법(Nanoporous Structure Pellet Using Calcium Alginate G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0-2019-0143387
2019.11
ADSORBENT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TRACE CONTAMINANTS
PCT/KR2019/014060
2019.10
광자극을 이용한 마스크팩 또는 패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COMPOSITION FOR MASK PACK OR PATCH PREPARED BY PHOTOSTIMULATION AND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10-2019-0111881
2019.09
세포배양액 담지 3 차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필름의 제조 방법(THREE DIMENTIONAL STRUCTURE ENCAPSULATING CELL CULTURE LIQUID AND METHOD OF PREPARING FILM INCLUDING SAME)
10-2019-0066335
2019.06
다기능성 물질 흡방출용 금속-유기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Absorption and Release of Multifunctional Materials Metal organic Frameworks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10-2019-0061706
2019.05
금속-유기 단위체를 포함하는 다공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orous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metal-organic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0-2019-0043840
2019.04
칼슘 알지네이트 겔을 이용한 나노 다공성 구조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Nanoporous Structure Composition Using Calcium Alginate G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0-2019-0040358
2019.04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이용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9-0040026
2019.04
3차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필름
10-2019-0023979
2019.02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0-2019-0023780
2019.02
나노결정의 금속유기구조체를 이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Perovskite solar cell using nanocrystalline metal-organic framework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10-2019-0022028
2019.02
금속-유기 단위체를 이용한 다공성 액체 및 이의 제조방법(Porous liquids composition using metal-organic polyhedra and method of preparation of the same)
10-2019-0015148
2019.02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Light-cleavage metal organic frameworks and method of synthesis therof)
10-2019-0009781
2019.01
PHOTODEGRADABLE METAL-ORGANIC FRAMEWORK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CT/KR2019/001094
2019.01
금속유기 구조체를 이용한 기능성 물질 흡방출 조절방법
10-2019-0005877
2019.01
미량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흡착재의 성능 측정시스템 및 성능 측정방법
10-2019-0000797
2019.01
NANOCRYSTALLINE METAL-ORGANIC FRAMEWORK CARRYING BIOIMAGING-AG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PCT/KR2018/004741
2018.04
금속-유기 단위체를 이용한 다공성 액체, 금속-유기 단위체들의 중합을 통한 다공성 고분자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8-0030656
2018.03
나노결정의 금속유기구조체를 이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8-0022620
2018.02
광분해성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8-0009120
2018.01
다공성 섬유상 금속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7-0145304
2017.11
바이오 이미징용 물질이 담지된 나노금속유기골격구조체 및 그것의 제조방법
10-2017-0052355
2017.04
Graphitic carbon layer coated semiconducting photocatalyst and fabricating same
US8987164 B2
2015.03
Method for Patterning Nanomaterial Using Solution Evaporation
US8758852 B2
2014.06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using block copolymer and oxidation reaction of metals
US8580227 B2
2013.11
Facile Synthesis of Microporous Triple-Bond Based Polymer Networks Using Acetylene Gas as a Building Unit
US8329769 B2
2012.12
흑연 구조의 탄소막을 코팅한 반도체 광촉매 및 제조방법(Graphitic carbon coated semiconducting photocatalyst and fabricating same)
10-2012-0078747
2012.07
Synthesis method of porous gallium oxide photocatalyst for preparation of hydrocarbons
13527351
2012.06
공간특이성을 이용한 이종 촉매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eterogeneous catalyst using space specificity)
10-2012-0012376
2012.02
탄화수소 제조용 다공성 산화갈륨 광촉매의 제조방법(Synthesis method of porous gallium oxide photocatalyst for preparation of hydrocarbons)
10-2012-0008307
2012.01
Partially Deactivated Metal Catalyst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US8012902 B2
2011.09
이종기공구조를 갖는 다공성 금속유기골격구조 결정체와 그의 제조방법(Heterogeneity within Order in Crystals of a Porous Metal Organic Framework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10-2011-0085497
2011.08
가시광선 영역하에서 물을 산화하는 티타늄이 삽입된 레이어드 더블 하이드록사이드 광촉매의 제조방법(Titanium-embedded layered double hydroxides as highly photocatalysts for water oxidation under visible light)
10-2011-0036863
2011.04
아세틸렌 가스를 이용한 트리플 본딩 기반의 마이크로포어 폴리머 네트워크의 합성방법(Facile synthesis of microporous Triple-bond based Polymer Networks using the acetylene gas as a building unit)
10-2009-0122650
2009.12
용액 증발법을 이용한 나노물질의 배열방법(Patterning method of nanomaterial using solution evaporation)
10-2008-0131413
2008.12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한 수소의 발생방법(Method for Generating Hydrogen Using Core/Shell Nanoparticles)
10-2008-0089887
2008.09
국부적으로 화학적 활성이 제어된 금속촉매 및 그의제조방법(Locally deactivated catalys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10-2008-0072347
2008.07
블록 공중합체와 금속의 산화반응을 이용한 수소의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using block copolymer and oxidation reaction of metals)
10-2008-0001145
20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