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AI 인사이트

RnDcircle AI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정보

※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연구 분야

기술 도입 효과 및 상용화 단계

경제적/시장 적용 및 기대 효과

1
차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 (리튬-황/전고체 배터리)
  • 고체 전해질 및 전극 계면 안정화 기술: 전고체 리튬-황 전지의 핵심 난제인 계면 저항을 감소시키고 안정성을 확보하여 배터리 수명과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합니다.
  • 나노구조 탄소 전극 및 원자층 증착(ALD) 코팅 기술: 고분자 유래 탄소 나노구조 및 고밀도 코팅층을 적용하여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과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상용화 기반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고안정성 아연-공기 전지 개발', '압축응력-부착력 제어 탄소 나노구조' 프로젝트 연계)

리튬-황 배터리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34.9%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본 연구실의 원천 기술은 고성능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고, 전기차, 항공우주, 그리드 저장 등 다양한 산업에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2
친환경 에너지 변환 및 촉매 기술 (온실가스 전환, 수소 생산)
  • 메탄 및 C1 화학종 전환 전기화학 촉매: 메탄, 오프가스 등 저부가가치 가스를 락톤, 유기산 등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는 고효율 단일 원자 및 이종계면 촉매 기술을 개발합니다. ('메탄 전환용 전기화학 촉매 반응공정 개발' 프로젝트)
  • 고효율 전기화학 시스템 구축: 촉매와 전극을 통합한 시스템 설계를 통해 에너지 변환 효율을 극대화하고 공정 비용을 절감하는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전기화학 촉매 기술은 에너지 저장(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및 친환경 연료 생산의 핵심입니다. 본 기술 도입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화학 산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3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
  • LINC 3.0 및 TLO 혁신형 사업 연계: 다수의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및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TLO)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맞춤형 기술 개발 및 신속한 기술이전을 지원합니다.
  • 국제 공동 연구 네트워크: 한-EU 협력 연구 등 활발한 국제 교류를 통해 글로벌 기술 동향을 선도하고, 파트너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합니다.

연구실의 축적된 R&D 역량과 강력한 산학협력 플랫폼을 통해 기술 사업화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기업의 신성장 동력 확보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입니다.

완료된 프로젝트

31

1

전고체 리튬-황 전지 연구를 위한 한-EU 협력연구 구축

고려대학교

2024년 09월 - 2025년 08월

한국-유럽 협력 연구

호라이즌 유럽

전고체 리틈-황 전지

양극 촉매

고분자 전해질

2

오프가스의 C1화학종 고농도화를 통한 락톤 및 유기산 생산 기술 개발

중앙대학교

2024년 06월 - 2024년 11월

오프가스

고농도화

카보닐화 락톤 생성 촉매

저온 플라즈마

전기/생물 융복합

3

압축응력-부착력 제어에 의한 고분자 유래-탄소 나노구조 형성 및 에너지 소자 응용

고려대학교

2024년 02월 - 2025년 01월

고분자탄화

탄소나노구조

에너지 저장 소자

고속 충방전

네트워크 구조

DFT 계산

4

메탄 전환용 전기화학 촉매 반응공정 개발

고려대학교

2023년 08월 - 2024년 01월

실증규모 반응기

전기화학 촉매

메탄 저감 반응기

연속 반응기 시스템

고안정성 촉매

고내구성 촉매

기체 직접확

5

플라즈마 공법 금속촉매 주입 및 고분자촉매 첨가 고효율 흡착/분해 활성탄

(재)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2020년 03월 - 2022년 10월

플라즈마

급속촉매 주입

금속촉매 고정화

고분자 나노촉매

하이브리드 첨착활성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