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건축환경 및 에너지 효율화 연구

이경희 연구실은 건축환경과 에너지 효율화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공동주택, 오피스텔, 학교, 공공기관 등 다양한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 특성을 분석하고, 단열성능, 창호 시스템, 블라인드 운영, 발코니 구조 등 건축 요소별로 에너지 부하 저감 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를 위해 동적 시뮬레이션, 실측 실험, 현장 조사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실제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임대아파트와 분양아파트의 에너지 소비량 차이, 커튼월 건축물의 이중외피 시스템 적용 효과, 블라인드 및 발코니 구조에 따른 냉난방 부하 변화 등 실질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도시 열섬 현상 완화, 자연채광 및 자연환기 활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적화 등 친환경 건축기술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뿐만 아니라,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환경오염 저감,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건축환경 분야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반영하여,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에너지 효율화 솔루션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2

건축설비 및 피난안전성 향상 연구

본 연구실은 건축설비와 피난안전성 향상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화재 발생 시 건축물 내 대피 안전성 평가, 피난시설의 제도적 개선, 연기확산 및 배연설비의 성능 분석 등 건축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실질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실내 스포츠 시설,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 다양한 공간에서의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해 장애물, 연기, 배연설비 등이 대피 경로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전한 피난 계획과 설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외 피난 관련 법제도 비교, 피난안전구역의 최적 위치 선정, 대피약자(노약자, 장애인 등)를 고려한 피난시설 설계 등 실질적이고 포괄적인 안전성 향상 방안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배연설비의 방식별 성능 비교, 자연환기구의 위치 및 형태에 따른 환기효율 평가, 지하공간의 연기확산 특성 분석 등 설비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축물의 화재 및 재난 대응 능력을 높이고, 사용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첨단 시뮬레이션 기법과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축설비와 피난안전성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지속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