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장민 교수
환경나노기술연구실은 첨단 나노소재와 환경공학적 접근을 결합하여 수질 및 토양 환경의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수질처리 분야에서 나노구조 흡착제, 촉매, 금속-유기 골격체(MOF), 그래핀 산화물, MXene 등 혁신적인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고효율 오염물질 제거 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중금속, 미량 유기오염물질, 내분비계 교란물질, 방사성 오염물질 등 다양한 신종 및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제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플라즈마, 광촉매, 전기화학적 산화, 고도 산화공정(AOP) 등 다양한 첨단 처리기술과 나노소재를 융합하여 기존 수처리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제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통합 수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험실 연구뿐만 아니라 파일럿 및 현장 실증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여, 실제 산업 및 환경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기술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토양 및 광산 환경 분야에서는 폐광산 슬러지, 폐자원 기반 흡착제, 안정화제 등을 활용한 중금속 및 방사성 오염물질의 정화, 산성광산배수(AMD) 처리, 오염토양의 세척 및 복원, 자연정화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복원 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플라즈마, 진공추출, 공압파쇄 등 첨단 물리화학적 기술을 접목하여 저투수성 토양 및 복합오염지의 정화 효율을 극대화하고, 현장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의 실용화와 확산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 논문, 기술이전, 현장 실증사업 등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환경나노기술연구실은 지속가능한 환경복원 및 오염 저감 기술 개발을 통해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창출하고, 미래 환경문제 해결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