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권승희 연구실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권승희 교수

권승희 연구실

토목환경공학과 권승희

권승희 연구실은 토목환경공학 분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거동, 내구성 평가, 그리고 첨단 건설재료 개발에 중점을 두고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고강도 콘크리트,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등 다양한 신소재를 활용하여 구조물의 수명 연장과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크리프, 건조수축, 자기수축 등 시간에 따른 구조물의 변화와 내구성 저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무에 적용 가능한 예측 모델과 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펌핑 기술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의 펌핑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 특성 변화, 압송 효율, 윤활층 활성화 등 다양한 현상을 실험적·해석적으로 분석하여, 시공 현장에서의 품질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펌핑 중 배관 막힘 예측, 장거리 이송 효율 증대, 새로운 실험 장비 및 평가 방법 개발 등 실무에 직접 적용 가능한 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및 자기충전 콘크리트 등 신건설재료의 개발과 구조적 성능 평가도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첨단 재료의 미세구조 분석, 실험적 성능 평가, 수치해석 모델링 등을 통해 구조물의 내진성, 내구성, 시공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구조물 적용을 위한 설계 및 해석 기법, 표준화된 평가 방법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가 사회기반시설의 안전성 확보와 유지관리 비용 절감, 그리고 건설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산학협력 및 정부과제 수행을 통해 실무와 학문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기술이전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권승희 연구실은 앞으로도 첨단 건설재료와 구조공학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건설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기반시설 구축에 기여할 것입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거동 및 내구성 평가
권승희 연구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거동, 즉 크리프, 건조수축, 자기수축 등 시간에 따른 구조적 변화와 내구성 평가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실험 및 해석적 접근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적인 안정성과 성능을 예측하고, 실제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첨단 건설재료의 장기거동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구조물의 수명 연장과 유지관리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실제 교량, 빌딩 등 다양한 인프라 구조물에 적용되어, 노후화된 구조물의 성능 평가 및 보수·보강 방안 수립에 활용됩니다. 실교량 코어 시험, 내염해성 평가, 탄산화 실태조사 등 현장 기반의 실증 연구를 통해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구성 향상 기술을 개발합니다. 또한, 비파괴 시험 및 통계적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구조물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가 사회기반시설의 안전성 확보와 유지관리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장기거동 모델의 개발과 실증을 통해 국내외 건설 현장에 적용 가능한 표준화된 평가 및 예측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건설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유동성 및 펌핑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펌핑 기술 개발에 있어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의 펌핑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 특성 변화, 압송 효율, 윤활층 형성 및 활성화, 배관 내 마찰 특성 등 다양한 현상을 실험적·해석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공성능 예측 및 개선 기술을 개발합니다. 특히, 고유동성 콘크리트, 초고강도 콘크리트 등 신소재의 펌핑성능 평가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제 현장 실험과 첨단 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점도, 항복응력, 블리딩 등 유동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펌핑 중 윤활층 활성화제 주입, 배관 막힘 예측, 장거리 이송 효율 증대 등 실무에 직접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특허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형 구조물 시공, 초고층 빌딩, 장거리 파이프라인 이송 등 다양한 건설 현장에 적용되어 시공 품질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콘크리트 유동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실험 방법 및 장비 개발, 시공성능 예측 모델링 등도 연구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최적의 시공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안전하고 경제적인 구조물 시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및 신건설재료 개발
권승희 연구실은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UHPFRC, ECC 등)와 같은 첨단 건설재료의 개발 및 구조적 성능 평가에도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건설재료는 기존 콘크리트에 비해 인장강도, 연성, 내구성 등이 크게 향상되어, 교량 바닥판, 초고층 빌딩, 특수 구조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재료의 미세구조 분석, 실험적 성능 평가, 수치해석 모델링 등을 통해 복합재료의 최적 배합 및 구조적 거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합니다. 특히,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균열 저항성, 초기재령 특성, 응력-균열개구 관계 등 구조적 거동 특성에 대한 실험 및 해석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자기충전 콘크리트(SCC),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 등 신소재의 시공성능, 거푸집 압력, 펌핑성능 등 실무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구조물의 내진성, 내구성, 시공 효율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신건설재료의 개발뿐만 아니라, 실제 구조물 적용을 위한 설계 및 해석 기법, 표준화된 평가 방법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첨단 건설재료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고, 미래 건설산업의 혁신을 선도하는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1
Consideration on Application of Nondestructive Test to Estimate In-Situ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 A Case Study
권승희, 김형기, 지기범, 이정수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202503
2
On determination of characteristic in-situ carbonation depth from existing concrete struc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407
3
Strain Softening of 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in Uniaxial Com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202405
1
[3-1차년도]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지원 : 스마트 사회인프라 핵심연구지원센터(2단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5-3차년도]고강도 콘크리트를 포함한 한국형 장기거동(크리프, 건조수축, 자기수축) 모델식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3-3차년도]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지원 : 스마트 사회인프라 핵심연구지원센터(1단계)
한국연구재단
2023년 03월 ~ 2024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