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Smartgrid Lab.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주성관 교수

Demand Response

Electricity Market

Renewable Energy

Smartgrid Lab.

전기전자공학부 주성관

고려대학교 전력망융합기술연구실(Smartgrid Lab.)은 차세대 전력망 기술인 스마트 그리드와 재생에너지 통합, 에너지 IoT 및 빅데이터 기반 전력 시스템 혁신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력 시스템의 지능화와 효율화, 그리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회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전력망을 융합하여 전력의 생산, 분배, 소비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첨단 시스템입니다. 본 연구실은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 기술 개발과 실증 연구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분산 에너지 자원의 통합, 수요반응(DR) 프로그램 설계,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연계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의 확산에 따라 전력계통의 운영과 설계에 새로운 도전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기존 전력망에 안정적으로 통합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력시장 내에서의 경제성 분석, 네트워크 제약을 고려한 분산자원의 최적 운영 및 투자 기법, 전력계통의 신뢰도 및 보안성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에너지 IoT 및 빅데이터 기술은 전력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본 연구실은 IoT 센서와 스마트 미터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반의 예측 및 진단 기술 개발, 데이터 기반의 에너지 정책 수립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전력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산업의 혁신과 미래형 전력 시스템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정부, 산업계,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스마트 그리드, 재생에너지 통합, 에너지 IoT 및 빅데이터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 역량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통해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Demand Response
Electricity Market
Renewable Energy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스마트 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여 전력의 생산, 분배, 소비 전 과정을 지능적으로 관리하는 차세대 전력망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 기술 개발과 실증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 수요와 공급의 실시간 모니터링, 자동화된 제어, 분산 에너지 자원의 통합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 사용의 최적화와 전력 품질 향상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의 구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센서와 계측기, 통신 네트워크,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본 연구실은 전력망 내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예측 및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대응, 수요반응(Demand Response) 프로그램 설계, 전기차 충전 인프라 통합 등 스마트 그리드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는 에너지 전환 시대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자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정부 및 산업계와의 협력 연구를 통해 스마트 그리드 기술의 상용화와 확산을 선도하고 있으며, 미래 지향적 전력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통합 및 전력계통 운영
재생에너지의 확산은 전력계통의 운영과 설계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공합니다. 본 연구실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기존 전력망에 안정적으로 통합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분산자원 최적 운영, 계통 연계형 발전소의 효율적 운전 전략 등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전력시장 내에서 재생에너지의 가치 평가와 경제성 분석, 네트워크 제약을 고려한 분산자원의 투자 및 운영 기법, 전력계통의 신뢰도 및 보안성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실증 프로젝트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계통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정책 및 산업 현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통합 연구는 에너지 전환 및 탄소중립 정책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미래 전력계통의 지속가능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재생에너지 기반의 스마트 전력망 구축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에너지 IoT 및 빅데이터 기반 전력 시스템 혁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에너지 분야에서도 IoT(사물인터넷)와 빅데이터 기술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력 소비 및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여, 에너지 효율화와 전력 시스템의 지능화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IoT 센서와 스마트 미터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관리,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예측 및 진단 기술 개발이 주요 연구 내용입니다. 에너지 IoT 및 빅데이터 기술은 전력 수요 예측, 설비 고장 진단, 이상 징후 탐지, 수요반응 프로그램의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실제 전력망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력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기반의 에너지 정책 수립과 시장 운영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미래형 전력 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실은 산업계와의 협력, 정부 과제 수행 등을 통해 에너지 IoT 및 빅데이터 분야의 선도적 연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1
Holiday Load Forecasting Using Fuzzy Polynomial Regression with Weather Feature Selection and Adjustment
Y. M. Wi, S. K. Joo, K. B. Song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1970
2
Enhancement of Operation Efficiency of Grid Interconnected Photovoltaic Systems
J. Lee, S.K. Joo
Thin Solid Films, 1970
3
Analysis, control, and 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major blackout events
K. Yamashita, S. K. Joo, J. Li, P. Zhang, C. C. Liu
European Transactions on Electrical Power, 2008.11
1
소규모 수용가 대상 수요자원(국민DR, EE) 통합관리(IDSM) 기술 개발 및 실증
2021년 05월 ~ 2024년 04월
2
에너지거래 플랫폼 융합인력양성 (공동)
2020년 05월 ~ 2024년 12월
3
전력시장 불확실성과 네트워크 제약을 고려한 분산자원의 최적 운영 및 투자 기법 연구
2020년 06월 ~ 2023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