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수웅 연구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수웅 교수

김수웅 연구실

의과대학 김수웅

김수웅 연구실은 남성과학 및 비뇨의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남성생식기 질환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발기부전, 남성불임, 요도협착, 전립선비대증 등 다양한 남성 비뇨생식기 질환을 포괄적으로 연구합니다. 동물실험과 임상연구를 병행하여 질환의 분자생물학적 기전 규명과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특히, 해면체신경 손상, 당뇨병, 노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발기부전의 병태생리와 치료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Rho-kinase, LIM kinase, JNK, HDAC 등 신호전달 경로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들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 및 유전자 치료의 효과를 동물모델과 임상에서 검증합니다. 또한, 조직 섬유화와 세포자멸사 억제를 통한 기능 회복, 신경재생 촉진 등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남성불임 분야에서는 정계정맥류, 사정관 폐색, 요도협착 등 다양한 원인 질환의 진단 및 수술적 치료법의 효과와 예후를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미세수술기법을 이용한 정계정맥류제거술, 요도성형술, 사정관절제술 등 다양한 수술법의 임상적 성적과 합병증, 재발률, 예후인자 등을 장기적으로 추적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과 예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전립선비대증, 하부요로증상, 요실금, 과민성방광 등 다양한 비뇨기 질환의 진단 및 치료법, 약물치료와 수술치료의 비교, 삶의 질 평가, 성기능장애와 내분비질환의 연관성 등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임상연구와 기초연구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 가능한 근거기반 의학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김수웅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학회 및 국제학술대회에서 활발히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 및 학술재단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신약 개발, 바이오마커 발굴, 3D 바이오프린팅 등 첨단 융합연구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남성생식 건강 증진과 비뇨의학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역량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남성생식기 질환의 병태생리 및 치료 연구
본 연구실은 남성생식기 질환, 특히 발기부전, 남성불임, 요도협착 등 다양한 남성 비뇨생식기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동물모델과 임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질환의 원인과 진행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면체신경 손상에 의한 발기부전, 당뇨병성 발기부전, 요도협착의 조직학적 변화 등 다양한 질환 모델을 구축하여 병태생리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Rho-kinase, LIM kinase, JNK, HDAC 등 신호전달 경로의 역할과 이들 경로의 억제제가 남성생식기 질환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약물(예: PDE5 억제제, statin, 성장인자 등) 및 유전자 치료법의 효과를 동물모델에서 검증하고, 임상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직 섬유화와 세포자멸사 억제를 통한 기능 회복, 신경재생 촉진 등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남성생식기 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근거기반 치료전략을 제시합니다. 또한,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타겟을 발굴함으로써 맞춤형 치료법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으며, 향후 신약 개발 및 임상시험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높습니다.
남성불임 및 정계정맥류, 요도협착의 수술적 치료 및 예후 연구
연구실은 남성불임의 주요 원인인 정계정맥류, 요도협착, 사정관 폐색 등 다양한 질환의 수술적 치료법과 그 예후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세수술기법을 이용한 정계정맥류제거술, 요도성형술, 사정관절제술 등 다양한 수술법의 임상적 효과와 합병증, 재발률, 예후인자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술 전후의 정액지표, 임신율, 합병증 발생률 등을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합니다. 특히, 요도협착의 경우 다양한 수술적 접근법(예: 음경피부피판, 구부요도 단단문합술 등)의 성공률과 실패 원인, 재발 위치, 합병증 등을 분석하여 최적의 수술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계정맥류 환자에서 결찰된 정맥 개수, 초음파 소견, 정액검사 결과 등 다양한 임상적·영상의학적 지표가 수술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남성불임 및 비뇨생식기 질환 환자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법을 제공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예후 예측 인자 발굴을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 및 수술 전 상담의 질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남성생식 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Staged urethroplasty with groin full-thickness skin graft for managing complex anterior urethral strictures: surgical outcomes and predictive factors
김수웅, 조민철, Lee Jooho
WORLD JOURNAL OF UROLOGY, 202405
2
Chronic treatment with a combination of hepatocyte growth factor and JNK inhibitor ameliorates cavernosal veno-occlusive dysfunction
Lee, Junghoon, 조민철, 손환철, 김수웅
JOURNAL OF SEXUAL MEDICINE, 202312
3
Restoring erectile function by combined treatment with JNK inhibitor and HDAC inhibitor in a rat model of cavernous nerve injury
김수웅, 손환철, Cho Min Chul, Lee Junghoon
ANDROLOGY, 202205
1
남성불임유전자 Rbm의 기능연구
한국과학재단
1970년 ~ 1970년
2
발기부전을 위한 유전자 치료의 개발: 유형 5 phosphodiesterase의 발현 억제
정부
1970년 ~ 1970년
3
세로토닌의 남성 성기능 및 생식 특이적 역할에 대한 통합적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1970년 ~ 19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