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빈 연구실
수의과대학 이동빈
이동빈 연구실은 수의외과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동물의 외과적 질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임상적 혁신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대동물, 실험동물 등 다양한 동물을 대상으로 외과적 수술 기법의 개발과 임상 적용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형외과, 신경외과, 연부조직외과 등 세부 분야에서 최신 수술법과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환자의 치료 성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3D 프린팅, CO2 레이저, 하모닉 스칼펠 등 첨단 의료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수술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술의 정확성, 안전성, 그리고 환자의 회복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재활치료 및 통증 관리, 합병증 예방 등 환자 중심의 통합 치료 시스템을 구축하여 임상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치료와 재생의학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골 결손 치료, 바이오소재와의 융합을 통한 조직 재생, 그리고 만성 염증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 등은 동물 임상현장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임상 사례 연구,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특허 출원, 그리고 국제 학술대회 발표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통해 연구실의 연구 성과를 국내외에 알리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복지와 임상 표준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연구를 통해 수의외과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동빈 연구실은 앞으로도 동물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한 첨단 수의외과학 연구, 재생의학 및 임상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수의학 임상현장의 치료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동물과 보호자 모두에게 신뢰받는 연구실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Bovine Orthopedic Disease
Equine Biomechanics
Large Animal Surgery
수의외과학의 임상적 적용과 혁신적 수술 기법 개발
수의외과학은 반려동물 및 다양한 동물의 질병 치료와 건강 증진을 위한 핵심 분야로, 본 연구실은 다양한 외과적 수술 기법의 임상적 적용과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려동물의 정형외과적 질환(십자인대 파열, 슬개골 탈구 등), 신경외과적 질환(추간판 질환, 척수 손상 등), 그리고 연부조직 수술(종양 제거, 요로계 이상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임상 사례 분석을 통해 치료 성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3D 프린팅 기술, CO2 레이저, 하모닉 스칼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한 맞춤형 수술법을 도입하여 수술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3D 프린팅을 이용한 두개골 모델 제작 및 수술 가이드, CO2 레이저를 이용한 비인두 협착증 치료, 하모닉 스칼펠을 활용한 단축 수술 시간 및 출혈 감소 등은 환자 회복률을 높이고 합병증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재활치료와 통증 관리, 그리고 수술 합병증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극대화하고, 수의외과 분야의 임상 표준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재생의학 및 줄기세포 치료의 동물 임상 적용
본 연구실은 동물의 골 결손, 골수염, 피부 및 연부조직 손상 등 다양한 외과적 질환에 대한 재생의학적 접근과 줄기세포 치료의 임상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DW-MSCs)를 이용한 골 재생, 상처 치유, 그리고 만성 염증성 질환 치료에 관한 동물 모델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치료는 기존의 골 이식재나 인공재료에 비해 우수한 조직 재생 능력과 항염증 효과를 보이며,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동물 모델(쥐, 개 등)을 활용하여 줄기세포의 분화능, 생착률, 그리고 3D 배양 시스템을 통한 효능 증진 방법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탈세포화 골 매트릭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등 바이오소재와의 융합 연구를 통해 임상 적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대동물, 실험동물 등 다양한 종에 적용 가능하며, 수의외과 영역에서 재생의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동물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 그리고 수의학 임상현장의 치료 옵션 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In Vivo Evaluation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with Cancellous Bone Putty Formed Using Hydroxyethyl Cellulose as an Allograft Material in a Canine Tibial Defect Model
유동혁, 오민하, 김민경, 이동빈
ANIMALS, 202410
2
Whole Blood Viscosity Reference Intervals and Its Correlation with H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in Cats Using Scanning Capillary Method
이채영, 이성림, 김은주, 강진수, 정선준, 김남수, 정진무, 이동환, 노윤호, 이동빈
ANIMALS, 202312
3
Effect of Rehabilitation in a Dog with Delayed Recovery following TPLO: A Case Report
이신호, 조재현, 김충희, 이동빈
ANIMALS, 202309
1
만성 제엽염이 발생한 말에서 침치료 적용 후 임상 증상의 생체역학 및 혈유변학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