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 Material Assembly Group @ KAIST
화학과 윤동기
소프트 머티리얼 어셈블리 연구실은 고분자 및 액정 소재의 나노구조 제어와 자가조립 현상을 기반으로 한 첨단 기능성 소재 및 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분자 수준에서부터 나노, 마이크로, 매크로 스케일까지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구조 제어 기술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액정 고분자, DNA, 금속-유기 골격체(MOF), MXene, 바이오폴리머 등 다양한 소재를 융합하여 새로운 물성과 기능을 창출하는 융합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 중 하나는 액정 및 고분자 소재의 정렬 제어와 나노구조 패터닝 기술입니다. 전기장, 표면 패터닝, 나노스크래치, 기계적 전단력 등 다양한 외부 자극을 활용하여, 고분자 및 액정의 분자 배향과 결함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광학 필터, 센서, 에너지 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고기능성 신소재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액정의 위상 결함, 나선형 구조, 토폴로지컬 솔리톤 등 복잡한 미세구조를 활용한 물리적 복제불가능함수(PUF) 및 보안 소자 개발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액정의 무작위적이고 재현 불가능한 결함 패턴과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기존 반도체 기반 PUF의 한계를 극복하는 다차원적 보안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위변조 방지, 인증 시스템, IoT 보안 등 실질적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혁신적 응용이 가능합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구조-물성-기능 연계성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여, 실제 산업적 응용까지 이어질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대형 국가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차세대 소재 및 소자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실은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 환경을 바탕으로, 차세대 융복합 소재 및 소자 개발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다양한 학제 간 협력과 첨단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의 핵심 기술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Mechanochromic Materials
Nanoparticle Assembly
Liquid Crystals
나노구조 제어 고분자 및 액정 소재 개발
본 연구실은 나노구조 제어가 가능한 고분자 및 액정 소재의 합성과 구조 제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고분자와 액정의 분자 배향 및 나노구조 형성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분자 수준에서부터 나노미터, 마이크로미터에 이르는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정렬 및 패턴 제어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전기장, 표면 패터닝, 나노스크래치, 기계적 전단력 등 다양한 외부 자극을 활용하여 고분자 및 액정의 나노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액정 고분자 기반의 다차원 고배향 기능성 신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나노구조의 정렬이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액정 고분자와 금속-유기 골격체(MOF), MXene, DNA 등 다양한 기능성 나노소재와의 복합화를 통해 새로운 물성 및 응용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분자 및 액정 소재의 구조적, 기능적 혁신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노구조 제어 기술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센서, 에너지 소자, 바이오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구조-물성-기능 연계성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여, 실제 산업적 응용까지 이어질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액정 기반 기능성 소자 및 물리적 복제불가능함수(PUF) 개발
본 연구실은 액정의 독특한 자가조립 및 결함 구조를 활용한 기능성 소자 개발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액정의 위상 결함, 토폴로지컬 솔리톤, 나선형 구조 등 다양한 미세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광학적·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신개념 소자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액정 기반의 물리적 복제불가능함수(Physical Unclonable Function, PUF) 개발을 통해 보안, 위변조 방지, 인증 시스템 등 첨단 응용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UF 소자는 액정의 무작위적이고 재현 불가능한 결함 패턴, 광학적 지문, 분자 정렬의 난수성을 이용하여, 기존 반도체 기반 PUF의 한계를 극복하는 다차원적 보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액정-고분자 복합체, DNA, 금 나노막대, 메타물질 등 다양한 소재와의 융합을 통해 광학적·전기적 신호를 동시에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PUF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정보 보안, 위조 방지, IoT 인증 등 실질적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혁신적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더불어, 액정 기반의 빔포밍 안테나, 광학 필터, OLED, 센서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자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액정의 자가정렬 특성과 외부 자극에 대한 민감한 반응성을 활용하여, 고속 응답, 저전력, 다기능성을 갖춘 차세대 소자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1
Nanoconfinement-induced orientation changes in liquid crystalline block co-oligomers
Juyeol Kim, Yujin Kang, Dong-Gue Kang, Hyewon Park, Yeongsik Kim, Chinedum O. Osuji, Hyungju Ahn,*, Changyeon Lee*, Dong Ki Yoon*
J. Mater. Chem. C., 2025
2
Dual Stimuli-Responsive Actuation of Oriented MXene/Polymer Composite
Yoon, Dong Ki, Jeon, Sieun, Lee, Changjae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2506
3
Controlled Mesoscopic Growth of Polymeric Fibers Using Liquid Crystal Template
Han, Jeong Yeon, Kim, Kyuhwan, Lee, Changjae, Yoon, Dong Ki
MACROMOLECULAR RAPID COMMUNICATIONS, 202504
1
전기적 유도 가능한 나선형 구조의 능동 광학 회전 제어(박혜원)
2
바이오물질 필름을 이용한 광치료 OLED 기반의 상처치료용 피부 패치 개발
3
(통합EZ)(박순모)(1/1차년도)단일 분자간 힘 측정을 통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융합 펩타이드와 생물 모방 지질 이중층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2024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