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oratory of Structural Pharmacology & Drug Design
약학대학 김국래
약학대학의 구조 약리학 및 약물 설계 연구실은 GPCR 구조 연구, 세로토닌 수용체 연구, 암 대사 리프로그래밍 연구, 소듐 이온 채널 구조 연구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저온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GPCR 구조 연구와 세로토닌 수용체 2A와 길항제의 구조 규명 및 플랫폼 개발에 대한 연구는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다수의 논문 발표와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암 대사 리프로그래밍 기전 연구와 소듐 이온 채널 로돕신 구조 연구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루어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신약 개발 및 구조 약리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Sodium Ion Channels
Cancer Metabolism
Serotonin Receptors
세로토닌 수용체 2A와 길항제의 구조규명 및 플랫폼 개발
세로토닌 수용체 2A는 다양한 정신질환과 관련된 중요한 표적 단백질입니다. 본 연구는 세로토닌 수용체 2A와 그 길항제의 구조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약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초저온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고해상도 구조 분석 기술과 최신 분자 생물학 기법을 활용하여 세로토닌 수용체 2A의 구조적 특징을 명확히 밝히고, 이와 상호작용하는 길항제의 결합 메커니즘을 규명합니다. 이를 통해 신약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암 대사 리프로그래밍 기전 연구
암세포의 대사 리프로그래밍은 종양의 성장과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는 암 대사 리프로그래밍의 기전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통해 암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자 생물학적 기법과 구조 생물학적 접근법을 통해 암 대사 관련 주요 단백질과 그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분석합니다. 특히, 초저온 전자현미경을 활용하여 대사질환 관련 GPCR들의 구조를 연구하고,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1
Constitutive activation mechanism of a class C GPCR
Jinwoo Shin, Junhyeon Park, Jieun Jeong, Jordy Homing Lam, Xingyu Qiu, Di Wu, Kuglae Kim, Joo-Youn Lee, Carol V Robinson, Jaekyung Hyun, Vsevolod Katritch, Kwang Pyo Kim, Yunje Cho
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 2024
2
AlphaFold2 structures template ligand discovery
Jiankun Lyu, Nicholas Kapolka, Ryan Gumpper, Assaf Alon, Liang Wang, Manish K Jain, Ximena Barros-Álvarez, Kensuke Sakamoto, Yoojoong Kim, Jeffrey DiBerto, Kuglae Kim, Tia A Tummino, Sijie Huang, John J Irwin, Olga O Tarkhanova, Yurii Moroz, Georgios Skiniotis, Andrew C Kruse, Brian K Shoichet, Bryan L Roth
bioRxiv, 2023
3
Structural studies of serotonin receptor family
Apeksha Parajulee, Kuglae Kim*
BMB reports, 2023
2
[포닥]김국래(민보람) 소듐이온채널 로돕신 구조 연구
3
[통합Ezbaro/IR]암 대사 리프로그래밍 기전 연구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