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유기전자재료 연구실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정병준 교수

EUV Lithography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OLED Patterning

유기전자재료 연구실

신소재공학과 정병준

유기전자재료 연구실은 고분자화학 및 신소재공학을 기반으로 차세대 유기전자소자 및 관련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불소화 고분자 포토레지스트의 합성과 이를 활용한 OLED, QLED 등 유기발광소자의 미세패터닝 공정 기술 개발에서 국내외적으로 높은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불소화 포토레지스트는 불소계 용매에 대한 우수한 용해도와 내식성을 바탕으로, 유기재료층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3㎛ 이하의 고해상도 패턴 구현이 가능하여, 대면적·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오르쏘니트로벤질에스터, 스피로피란 등 다양한 광반응성 기능기를 도입한 고분자 소재를 개발하여, 자외선 노광 시 주쇄 절단 또는 이성화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노광 부위의 용해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리프트-오프, 건식 에칭 등 다양한 미세패터닝 공정에 적용할 수 있으며, OLED, QLED, 유기전자소자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전자소자 제조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관련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국가 연구과제의 지원을 받아 활발히 진행 중이며, 다수의 특허와 논문을 통해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유기 및 무기 하이브리드 트랜지스터, 바이오센서, pH 센서 등 다양한 응용을 위한 고분자 및 복합소재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실라잔계 자기조립단분자막(SAM) 처리, PMMA 패시베이션, Zr 도핑 등 표면 및 계면 공정 기술을 적용하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와 인듐-아연-산화물(IZ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차세대 플렉서블 전자소자,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모니터링을 위한 pH 센서, 철근 부식 모니터링 센서 등 건설 및 환경 분야로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나일블루, 아닐린블루, 콩고레드 등 다양한 염료를 셀룰로오스, 나일론 등 고분자 기판에 공유결합시켜, 내구성과 응답성이 뛰어난 센서를 개발하였으며, 실제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적용 가능성도 검증하였습니다. 이러한 센서들은 비파괴적이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인프라 구조물의 수명 연장과 유지보수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유기전자재료 연구실은 소재 합성, 소자 제작, 응용까지 전주기적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센서,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고분자화학과 신소재공학의 융합을 통해, 미래 유기전자소자 및 스마트 센서 기술의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계획입니다.

EUV Lithography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OLED Patterning
고불소화 고분자 포토레지스트 및 OLED 미세패터닝 기술
유기전자재료 연구실은 고불소화 고분자 포토레지스트의 합성과 이를 활용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미세패터닝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고불소화 포토레지스트는 기존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기재료 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소재로, 불소계 용매에 대한 높은 용해도와 우수한 내식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OLED와 같은 유기전자소자 제조 시 미세한 패턴을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리프트-오프 및 건식 에칭 공정 모두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연구실에서는 오르쏘니트로벤질에스터, 스피로피란 등 다양한 광반응성 기능기를 고분자 사슬에 도입하여 자외선 노광 시 주쇄 절단 또는 이성화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노광 부위의 용해도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3㎛ 이하의 고해상도 패턴 형성이 가능해졌으며, OLED 픽셀의 대면적·고해상도 제조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또한, 첨가제 없이 고불소계 용제만을 사용해 패턴을 제작할 수 있어, 유기재료층의 화학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특허도 다수 출원 및 등록되어 있습니다. 앞으로도 고불소화 고분자 포토레지스트의 성능 향상과 OLED, Q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 공정의 혁신을 목표로 연구를 지속할 계획입니다.
유기 및 무기 하이브리드 트랜지스터 및 센서 소재 개발
본 연구실은 유기 및 무기 하이브리드 트랜지스터, 바이오센서, pH 센서 등 다양한 응용을 위한 고분자 및 복합소재 개발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분자 기반의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 인듐-아연-산화물(IZO) 박막 트랜지스터, 그리고 이들의 표면개질 및 패시베이션 기술을 통해 전기적 특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라잔계 자기조립단분자막(SAM) 처리, PMMA 패시베이션, Zr 도핑 등 다양한 표면 및 계면 공정 기술을 적용하여, 이동도와 바이어스 안정성의 트레이드오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모니터링을 위한 pH 센서, 철근 부식 모니터링 센서 등 건설 및 환경 분야로의 융합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나일블루, 아닐린블루, 콩고레드 등 다양한 염료를 셀룰로오스, 나일론 등 고분자 기판에 공유결합시켜, 내구성과 응답성이 뛰어난 센서를 개발하였으며, 실제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적용 가능성도 검증하였습니다. 이러한 센서들은 비파괴적이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인프라 구조물의 수명 연장과 유지보수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바이오센서, 전기화학 센서, 디지털 인버터 기반 가스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유기전자재료 연구실은 소재 합성부터 소자 제작, 응용까지 전주기적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차세대 센서 및 트랜지스터 기술의 선도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Dissolution Behavior of Fluoroalkylated Diazonaphthoquinone and Its Blends with Fluorinated Copolymers under UV Irradiation
정병준, 이진균, 손종찬, 구예진, 원종인, 김두홍, 강새은, 김가영
MOLECULES, 202310
2
pH sensor using aniline blue and functionalized nylon for monitoring the final stage of concrete carbonation
김강수, Hyun-do Yun, Soo-Yeon Seo, 김재현, 정호성, 정병준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 202309
3
Photoinduced Solubility Modulation in the Copolymers of Fluoroalkyl, Spiropyranyl, and Isobornyl Methacrylates
Myungwoong Kim, Jin-Kyun Lee, Jongchan Son, Yejin Ku, Gayoung Kim, 최유민, Seungsoo Choi,, Keun-Woo Park, 정병준
ACS APPLIED POLYMER MATERIALS, 202304
1
[2-2][통합RCMS]리소그래피(Lithography) 공정에 의한 OLED 화소 형성 기술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2024년 ~ 2024년 12월
2
[2-1][통합RCMS]리소그래피(Lithography) 공정에 의한 OLED 화소 형성 기술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 2023년 12월
3
[1-3][통합RCMS]리소그래피(Lithography) 공정에 의한 OLED 화소 형성 기술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2022년 ~ 2022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