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인호 연구실

단국대학교 생명자원학부

김인호 교수

Phytogenic Feed Additives

Growth Performance

Probiotics

김인호 연구실

생명자원학부 김인호

김인호 연구실은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생명자원학부에 소속되어 있으며, 국내외 축산영양학 및 사료과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단위가축(돼지, 닭 등)의 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영양학적 기초 연구와 더불어,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 사양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사료 원료의 영양적 가치 평가, 단백질 및 에너지 수준 조절, 아미노산 및 미네랄 요구량 결정 등 기초 영양학 연구를 통해 가축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사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료 내 대체 원료(곡물 부산물, 식물성 단백질, 해양 미세조류 등)의 활용 가능성 평가와 함께, 사료 내 영양소 조성 변화가 성장, 육질, 혈액 성상, 면역 및 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항생제 대체 천연 사료첨가제 개발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기능성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식물추출물,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유기산, 효소제 등 다양한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 면역력 증진, 성장 촉진, 악취 저감 등 다기능성 사료첨가제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단백 사료에서도 성장 저하 없이 장 건강과 영양소 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맞춤형 첨가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사료비 절감과 환경 친화적 축산 실현, 그리고 고품질 축산물 생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축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축산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 및 기술이전, 산업화 성과도 꾸준히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인호 연구실은 축산업의 미래를 선도하는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입니다.

Phytogenic Feed Additives
Growth Performance
Probiotics
단위가축 영양 및 사료 효율화 연구
본 연구실은 단위가축(돼지, 닭 등) 영양학 분야에서 오랜 기간에 걸쳐 축적된 경험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가축의 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영양 공급 및 사료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사료 원료의 영양적 가치 평가, 단백질 및 에너지 수준 조절, 아미노산 및 미네랄 요구량 결정 등 기초 영양학 연구를 통해 가축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사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사료 내 대체 원료(곡물 부산물, 식물성 단백질, 해양 미세조류 등)의 활용 가능성 평가와 함께, 사료 내 영양소 조성 변화가 성장, 육질, 혈액 성상, 면역 및 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 협력하여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 연구도 활발히 수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사료비 절감과 환경 친화적 축산 실현, 그리고 고품질 축산물 생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축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축산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 및 기술이전, 산업화 성과도 꾸준히 창출하고 있습니다.
항생제 대체 천연 사료첨가제 및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기능성 연구
김인호 연구실은 가축의 건강 증진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항생제 대체 천연 사료첨가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식물추출물,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유기산, 효소제 등 다양한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 면역력 증진, 성장 촉진, 악취 저감 등 다기능성 사료첨가제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마이크로바이옴(장내 미생물군) 연구를 기반으로, 저단백 사료에서도 성장 저하 없이 장 건강과 영양소 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맞춤형 첨가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동물실험과 오믹스 분석을 통해 미생물군 조성 변화, 대사체 프로파일, 면역 및 항염증 반응 등 다각적인 생리적 효과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항생제 사용 제한에 대응하는 친환경·안전 축산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현장 적용 사례 등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으며, 미래형 동물바이오 산업의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1
Split-feeding as a sustainable feeding strategy for improving egg production and quality, nutrient digestibility, and environmental impact in laying hens
김인호, 황형석, 임채빈, 엄지원, 조성보
POULTRY SCIENCE, 202506
2
Influence of Probiotic Administration in Canine Feed: A Comprehensive Review
김인호, N.K. Gopalakrishnan, M. Pappuswamy, G. Meganathan, 산무감 수레쉬 쿠마, K. Pushparaj, B. Balasubramanian
Veterinary Sciences, 202505
3
Optimizing Finishing Pig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The Role of Protein Levels and Eco-Friendly Additive
김인호, 자오우에이한, 이계진
Animals, 202505
1
이유자돈 장 건강 개선을 위한 코팅 유기산제 평가
한국연구재단
2024년 05월 ~ 2024년 11월
2
돼지의 소화 효율 개선 및 질병 저항성 증진을 위한 면역 증강미생물제제 개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24년 04월 ~ 2024년 12월
3
스마트동물바이오연구소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