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김혜선 연구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혜선 교수

김혜선 연구실은 의과학 분야에서 치매, 특히 알츠하이머병을 중심으로 한 퇴행성 뇌질환의 분자병인기전과 치료 전략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아밀로이드 베타, 타우 단백질, APP 등 치매의 주요 원인 단백질의 생성과 축적, 그리고 이로 인한 신경세포 사멸, 시냅스 기능 저하, 신경염증, 산화적 스트레스 등 다양한 병리적 현상을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혈뇌장벽(BBB) 제어,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전달, RNA 시퀀싱, 단백질체 분석, 유전자 편집 등 첨단 바이오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및 진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분자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조기 진단 바이오마커 개발 및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 검증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플로로글루시놀, 뉴레귤린-1, 미노사이클린, microRNA 등 다양한 신경보호 및 시냅스 기능 회복 물질의 작용기전을 동물모델과 세포모델에서 검증하고, 신경줄기세포 및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기반의 재생의학적 치료 전략도 활발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STAT3, Nurr1, S100A9 등 신호전달 경로의 조절을 통한 신경염증 억제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자폐스펙트럼장애, 파킨슨병 등 다양한 신경발달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병인기전과 치료법 개발에도 연구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microRNA, 신경줄기세포, 성장인자, 신경영양인자 등 다양한 생체분자 및 세포치료 접근을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의 임상적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적이고 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김혜선 연구실은 치매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조기진단,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기초연구와 임상연구를 연결하는 중개연구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