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과 박은덕 교수
박은덕 연구실은 에너지시스템학과 소속으로, 촉매화학공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관련 촉매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메탄, 암모니아, 메탄올 등 C1 가스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는 혁신적 촉매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청정에너지 생산 및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탄의 직접 산화 반응을 통한 메탄올, 포름산, 메탄 산화체 등 유용 화합물 생산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도 높은 수준의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금속/제올라이트 기반 촉매, 코어-쉘 구조 촉매, 탄소 표면처리 전이금속 촉매 등 다양한 첨단 촉매를 개발하여, 메탄의 선택적 전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수의 특허 출원 및 논문 발표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용화 가능성도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수소 생산 분야에서도 암모니아 분해, 메탄 열분해, 메탄올 개질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고효율 수소 생산 촉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선택적 CO 산화, 메탄화, 수성가스 전환 촉매 등도 연구하여, 고순도 수소 공급 및 연료전지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촉매의 장기 안정성, 내오염성, 공정 통합성 등 실용화에 필요한 요소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환경 촉매 분야에서는 NOx, CO, VOCs 등 대기오염물질의 저감 및 제거를 위한 선택적 촉매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저온 SCR, 선택적 산화, 흡착-촉매 복합 시스템 등 다양한 반응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산업 및 도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친환경 촉매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배기가스 정화, 연료전지 시스템 내 불순물 제거, 산업용 가스 정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맞춘 맞춤형 촉매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바이오매스 전환, 폐자원 활용, 신재생에너지 소재 개발 등 에너지 및 환경 분야의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박은덕 연구실은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에너지·환경 촉매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미래 에너지 및 환경 기술 발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