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System Genomics Lab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박현 교수

Environmental DNA

Metagenomics

Cold Adaptation

System Genomics Lab

생명공학부 박현

시스템유전체연구실은 극지 및 해양 생물의 유전체 해독과 환경 적응, 진화 메커니즘 규명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남극, 북극 등 극한 환경에 서식하는 어류, 갑각류, 미생물, 이끼, 지의류 등 다양한 생물종을 대상으로 3세대 실시간 유전자 해독 기술(PacBio SMRT), Hi-C 기술, NGS, RNAseq 등 첨단 유전체 분석 플랫폼을 활용하여 염색체 수준의 고정밀 유전체를 해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극한 환경 적응, 저온 내성, 항동결 단백질, 항산화 시스템 등 환경 적응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유전자군을 발굴하고, 이들의 기능과 진화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유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극지 및 해양 생물에서 유용 유전자원과 환경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다양한 산업 및 환경 분야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온 활성 효소, 항동결 단백질, 중금속 내성 유전자, 환경 스트레스 반응 유전자 등은 바이오에너지, 환경복원, 신약개발, 식품 및 사료 산업 등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환경 변화 및 오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지표(Biomarker) 개발, eDNA 및 메타지놈 분석을 통한 해양생태계 모니터링 등 실용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시스템유전체연구실은 지구상 모든 생물의 유전정보 해독을 목표로 하는 Earth BioGenome Project(EBP)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10년간 150만 종 이상의 유전체 해독을 목표로 대규모 유전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 진화생물학, 생태계 변화 예측, 신종 생물 분류, 유용 유전자원 탐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표준화, AI 및 머신러닝 기반 유전자 기능 예측 등 데이터 과학적 접근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해양 및 극지 생물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양식산업 혁신, 기후변화 및 해양오염에 따른 생태계 변화 예측, 멸종위기종 보전, 환경복원 기술 개발 등 사회적·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연구기관,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용적 성과 창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시스템유전체연구실은 유전체 기반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생명의 환경 적응 및 진화의 유전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새로운 유전자의 기능 연구와 유용 유전자원 활용, 환경 및 산업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융합적·선도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Environmental DNA
Metagenomics
Cold Adaptation
극지 및 극한환경 생물 유전체 해독과 적응 메커니즘 연구
시스템유전체연구실은 극지 및 극한환경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의 유전체를 해독하고, 이들이 극한 환경에 적응하는 유전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남극, 북극 등 극지방의 어류, 갑각류, 미생물, 이끼, 지의류 등 다양한 생물종을 대상으로 3세대 실시간 유전자 해독 기술(PacBio SMRT), Hi-C 기술 등을 활용하여 염색체 수준의 고정밀 유전체를 해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극한 환경에서의 생존, 저온 적응, 항산화 시스템, 항동결 단백질 등 환경 적응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유전자군을 발굴하고, 이들의 기능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히 유전체 해독에 그치지 않고, 극지 생물의 진화적 특성, 유전자 확장/감소, 유전자 발현 조절, 후성유전적 변화 등 다양한 오믹스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극한 환경 적응의 분자적 기전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극 어류의 항동결 단백질 유전자, 극지 미생물의 저온 활성 효소, 극지 이끼와 지의류의 스트레스 내성 유전자 등은 극한 환경 적응의 대표적 사례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극지 및 극한환경 생물 유전체 연구는 기초과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예측, 환경지표종 개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한 유용 유전자 및 효소 발굴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구 생물다양성 보전 및 생명체의 진화적 다양성 이해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기반 유용 유전자원 및 환경 바이오마커 개발
본 연구실은 유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극지 및 해양 생물에서 유용 유전자원과 환경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다양한 산업 및 환경 분야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극한 미생물, 해양 어류, 패류, 갑각류 등에서 유전체 분석을 통해 저온 활성 효소, 항산화 단백질, 항동결 단백질, 중금속 내성 유전자, 환경 스트레스 반응 유전자 등 다양한 유용 유전자와 효소를 선별합니다. 이러한 유전자원은 바이오에너지, 환경복원, 신약개발, 식품 및 사료 산업 등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환경 변화 및 오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지표(Biomarker)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금속(비소, 아연 등) 노출에 따른 해양 패류의 HSP70, ABC transporter 등 스트레스 반응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하여 환경 오염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개발합니다. 또한, eDNA(환경유전자) 및 메타지놈 분석을 통해 해양 생태계의 미생물 다양성, 해양생물 군집 변화, 양식장 질병 원인 규명 등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기술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유전체 기반 유용 유전자원 및 바이오마커 개발 연구는 기후변화, 해양오염, 양식산업 위기 등 현대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해양생명자원 활용과 미래 바이오산업 발전의 핵심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지구 바이오게놈 프로젝트(Earth BioGenome Project) 및 대규모 유전체 빅데이터 구축
시스템유전체연구실은 지구상 모든 생물의 유전정보 해독을 목표로 하는 Earth BioGenome Project(EBP)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10년간 150만 종 이상의 유전체 해독을 목표로 대규모 유전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차세대 시퀀싱(NGS), 3세대 시퀀싱, Hi-C, RNAseq 등 첨단 유전체 분석 기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유전체 빅데이터는 생물다양성 보전, 진화생물학, 생태계 변화 예측, 신종 생물 분류, 유용 유전자원 탐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에 따른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멸종위기종 보전, 생물종 간 유전적 다양성 분석 등 글로벌 이슈 해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유전체 데이터의 표준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AI 및 머신러닝 기반 유전자 기능 예측 등 데이터 과학적 접근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구 바이오게놈 프로젝트와 유전체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생명체의 기원과 진화, 환경 적응의 분자적 원리, 생물다양성의 유전적 기반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미래 바이오산업, 환경정책, 생명과학 연구의 혁신적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1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he bacterial associates of the Arctic lichen Stereocaulon sp.
Mi-Kyeong Kim, Hyun Park, Tae-jin Oh*
African Journal of Microbiology Research, 2013
2
Transcriptome sequencing of the Antarctic vascular plant Deschampsia antarctica Desv. under abiotic stress.
Jungeun Lee, Eun Kyeung Noh, Hyung-Seok Choi, Seung Chul Shin, Hyun Park, Hyoungseok Lee*
Planta, 2013
3
The structure of a shellfish specific GST class glutathione S-transferase from Antarctic bivalve Laternula elliptica reveals novel active site architecture.
Ae Kyung Park, Jin Ho Moon, Eun Hyuk Jang, Hyun Park, In Young Ahn, Ki Seog Lee, Young Min Chi*
PROTEINS: Structure, Function, and Bioinformatics, 2013
1
도시환경 주거생활속 산패취 저감용 미생물과 향료를 이용한 마스킹 제품화 기술 개발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2024년 ~ 2024년 12월
2
로스해 해양보호구역의 보존조치 이행에 따른 생태계 변화 연구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24년 ~ 2024년 12월
3
남극크릴의 개체군 히스토리 추적을 위한 유전체 정보 확보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21년 06월 ~ 2022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