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범 연구실
의과대학 김민범
김민범 연구실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소속되어 있으며, 정형외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임상적 연구와 혁신적인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소아 및 성인 상지 재건 수술, 신경 및 골절 치료, 그리고 희귀 상지 기형 및 유전·대사성 골 질환의 임상적 분석 등입니다.
특히, 연구실은 외측과상부 지방근막 피판술, 손톱위허물 피판술 등 미세수술적 기법을 활용한 상지 재건 수술에 대한 임상 경험이 풍부합니다. 이러한 수술적 접근은 환자의 기능적 회복과 미용적 만족도를 동시에 추구하며, 국내외 학회지에 다수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경 접합술 및 다양한 골절 치료법에 대한 임상적 연구를 통해,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수술 후 재전위의 위험성, 합병증 발생률, 장기적 예후 등 다양한 임상 지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형외과 분야의 표준 치료 지침 확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희귀 상지 기형 및 유전·대사성 골 질환 환자에 대한 임상적 분석과 치료법 개발도 연구실의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다양한 분류 체계와 치료법을 적용하여 환자별 특성에 맞는 최적의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장기적 예후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민범 연구실은 앞으로도 정형외과학 분야의 임상적, 학문적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것이며, 환자 중심의 혁신적인 치료법 개발과 임상 현장 적용에 앞장설 것입니다.
소아 및 성인 상지 재건 수술
김민범 연구실은 소아 및 성인에서 발생하는 상지의 다양한 결손과 변형에 대한 재건 수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외측과상부 지방근막 피판술, 손톱위허물 피판술 등 미세수술적 기법을 활용하여 손상된 조직의 기능적 회복과 미용적 개선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이러한 수술적 접근은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수술 방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수술 기법의 개발 및 기존 기법의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측과상부 지방근막 피판술을 통한 소아 환자의 조직 재건, 손톱위허물 피판술을 이용한 절단 환자의 손톱 길이 연장술 등은 국내외 학회지에 다수 보고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술 후 기능 회복과 미용적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고자 합니다.
또한, 연구실은 다양한 피판술의 적응증, 수술 후 합병증, 장기적 예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며, 향후 상지 재건 분야의 표준 치료 지침 확립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신경 및 골절 치료의 임상적 연구
본 연구실은 말초 신경 손상 및 골절 치료에 대한 임상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경 접합술(End-to-side nerve repair)과 같은 첨단 수술 기법을 동물 모델과 임상 환자에 적용하여 신경 재생 및 기능 회복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수술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골절 치료 분야에서는 불안정 원위 요골 골절, 주상골 불유합 등 다양한 골절에 대한 외고정 및 경피적 강선 삽입술, Matti-Russe 술식, Fisk-Fernandez 술식 등 다양한 수술적 치료법의 임상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있습니다. 수술 후 재전위의 위험성, 합병증 발생률, 기능적 회복 정도 등 다양한 임상 지표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환자별 맞춤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 및 골절 치료의 최신 지견을 국내외 학계에 공유함으로써, 정형외과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법 개발 및 표준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희귀 상지 기형 및 유전·대사성 골 질환의 임상적 분석
김민범 연구실은 해표지증(Phocomelia)과 같은 희귀 상지 기형 및 유전성·대사성 골 질환에 대한 임상적 분석과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국내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 분류 체계, 수술적 치료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희귀 질환 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 전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분류 체계를 적용하여 환자별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고, 수술적 치료 후 기능적 개선 및 보호자 만족도를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분류 체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새로운 분류 및 치료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성 및 대사성 골 질환 환자에 대한 정형외과적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장기적 예후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희귀 질환 환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 의사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희귀 상지 기형 및 골 질환 분야의 임상적, 학문적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1
9세 이하 소아에서의 외측과상부 지방근막 피판술
이영호, 김민범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1008
2
손톱위허물 피판술을 이용한 절단 환자의 손톱 길이 연장술
김민범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0908
3
Contribution of the Proximal Nerve Stump in End-to-side Nerve Repair: In a Rat Model
김민범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20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