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연 연구실
화학생물공학부 김소연
김소연 연구실은 화학생물공학부를 기반으로 고분자 구조 및 물성, 나노복합체, 블록 공중합체 자기조립, 2차원 콜로이드 소재 등 다양한 첨단 소재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고분자와 나노입자의 계면 상호작용, 비평형 효과, 그리고 미세구조 제어를 통해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능성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분자 나노복합체 분야에서는 나노입자와 고분자 사슬의 상호작용, 표면 개질, 그리고 공정 조건에 따른 비평형 효과가 미세구조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소각각 X선 산란, 유변학, NMR 등 다양한 첨단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복합체의 구조와 동역학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리튬이온전지용 고체 전해질, 에너지 저장 소재, 바이오의료용 하이드로젤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블록 공중합체 및 계면 자기조립 기반 나노패터닝 연구에서는, 전단 정렬, 용매 증기 어닐링, 계면 자기조립 등 혁신적인 공정 기술을 개발하여, 대면적 고정밀 나노패턴을 구현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센서 등 첨단 산업에서 요구되는 초미세 패턴 구현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로, 저비용·고효율의 나노소재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래핀 산화물 및 2차원 콜로이드 소재 연구에서는, 액정상, 분산성, 유변학적 특성, 고분자 복합화에 따른 구조 변화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전단 흐름, 입자 다분산성, 첨가제 없는 겔화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미세구조와 물성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며, 3D 프린팅, 에너지 저장장치, 연성 전자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의 확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김소연 연구실은 고분자 및 나노소재의 구조-물성-공정의 연계 원리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적 소재 설계와 응용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가 및 산업체 연구과제, 특허, 국제 논문 발표를 통해 국내외 소재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Polymer Nanocomposites
Graphene Oxide
Solid Polymer Electrolytes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구조 및 비평형 효과
고분자 나노복합체는 고분자와 나노입자가 결합된 첨단 소재로, 그 구조와 물성은 나노입자의 분산 상태, 고분자 사슬의 동역학, 그리고 계면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내에서 나노입자와 고분자 사이의 상호작용, 특히 표면에 흡착된 고분자가 입자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자량의 고분자, 표면 개질된 나노입자, 그리고 용매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나노복합체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전기적, 열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평형(Non-equilibrium) 효과에 주목하여, 초기 용매 조건, 건조 속도, 혼합 경로 등 공정 조건이 최종 구조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합니다. 이러한 비평형 효과는 나노입자 주변의 고분자 사슬 배열, 입자 간 상호작용, 그리고 전체 복합체의 장기 안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실험적으로는 소각각 X선 산란(SAXS), 유변학, NMR 등 다양한 첨단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미세구조와 동역학을 정량적으로 해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설계와 응용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리튬이온전지용 고체 전해질, 에너지 저장 소재, 바이오의료용 하이드로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맞춤형 물성 구현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비평형 효과를 제어함으로써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기적 안정성과 고성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혁신적 소재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블록 공중합체 및 계면 자기조립 기반 나노패터닝
블록 공중합체는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고분자 블록이 결합된 구조로, 자체적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조립(Self-Assembly) 및 계면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대면적 고정밀 나노패턴을 구현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단 정렬(shear alignment), 용매 증기 어닐링, 계면 자기조립 등 다양한 공정 기법을 활용하여, 육각배열, 사각배열, 나노스트랜드, 나노도트 등 다양한 형태의 나노패턴을 제작합니다.
계면 제어를 통한 자기조립은 블록 공중합체의 도메인 방향성과 배열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핵심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공기-물 계면에서의 자기조립, 폴리머 나노모자이크 코팅, 자기조립 흡착층(SCAL) 도입 등 혁신적인 계면 제어 방법을 개발하여, 기존 리소그래피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저비용·고효율의 나노패터닝을 실현합니다. 또한, 금속 나노와이어, 촉매, 광학소자, 센서 등 다양한 기능성 나노소재의 제작에도 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에너지, 바이오센서 등 첨단 산업에서 요구되는 초미세 패턴 구현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을 제공합니다. 더불어,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조립 원리와 계면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나노구조 설계와 대량생산 공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래핀 산화물 및 2차원 콜로이드의 구조·유변학적 특성 연구
그래핀 산화물(GO) 및 2차원 콜로이드 소재는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차세대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그래핀 산화물의 액정상, 분산성, 유변학적 특성, 그리고 다양한 고분자와의 복합화에 따른 미세구조 변화를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특히, 전단 흐름 하에서의 정렬, 입자 크기 및 다분산성에 따른 유변학적 거동, 폴리머 첨가에 의한 상호작용 변화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실험적으로는 소각각 X선 산란, 광학현미경, 유변학 측정 등 다양한 첨단 기법을 활용하여, 그래핀 산화물의 층간 간격, 정렬도, 액정상 전이, 겔화 현상 등 미세구조와 물성의 상관관계를 규명합니다. 또한, 3D 프린팅, 슈퍼커패시터 전극, 연성 전자소자 등 응용을 위한 소재 설계와 공정 최적화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첨가제 없는 열처리 기반 겔화, 고분자 유도 액정상 제어, 나노입자 분산성 향상 등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공정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2차원 콜로이드의 근본적인 물성 이해와 더불어, 고성능 복합소재, 에너지 저장장치, 바이오의료 소재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나아가, 그래핀 산화물의 구조-물성-공정의 연계 원리를 밝힘으로써, 차세대 나노소재의 혁신적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Enhanced Ionic Conductivity via Suppressed Crystallization and Strengthened Dynamics in Solid Polymer-Blend Electrolytes: A Comprehensive Broadband Dielectric Spectroscopy Study
김소연, 황인수, 윤승한, 최장욱
MACROMOLECULES, 202412
2
Additive-Free Gelation of Graphene Oxide Dispersions via Mild Thermal Annealing: Implications for 3D Printing and Supercapacitor Applications
이규태, 김소연, 이호원, 이성현, 김국성, 김건웅
ADVANCED MATERIALS, 202411
3
Is Low Polydispersity Always Beneficial? Exploring the Impact of Size Polydispersity on the Microstructure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Graphene Oxide
조은호, 김소연, 심율희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2410
3
그래핀산화물 액정상 구조 및 레올로지 특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