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Jae-Byum Chang Lab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

Extracellular Matrix

Hydrogel Adhesion

Biotemplating

Jae-Byum Chang Lab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장재범 교수 연구실은 신소재공학과와 생명과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초고해상도 및 초다중 이미징 기술, 생체모사 하이드로젤, 바이오템플레이팅 기반 신소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암과 뇌 등 복잡한 생명현상의 분자적, 구조적 다양성을 정밀하게 규명할 수 있는 혁신적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여, 정밀의료 및 신경과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조직 내 수십 종 이상의 단백질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초다중 이미징 기술(PICASSO)과, 생체 조직을 나노미터 수준까지 팽창시켜 초고해상도로 이미징하는 팽창현미경 기술을 세계 최초로 전유기체에 적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암 조직의 미세환경 분석, 새로운 암 아형의 발굴, 면역항암제 반응성 예측, 뇌 신경망의 3차원 구조 해석 등 다양한 응용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생명체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모사한 하이드로젤 소재 및 소프트 로봇, 바이오템플레이팅을 통한 금속/무기 소재 합성 등 신소재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하이드로젤의 미세 패터닝, 3D 프린팅, 선택적 접착 및 분리, 빛에 반응하는 액추에이터 등 첨단 가공 및 응용기술을 통해,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바이오의료, 센서,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KAIST를 비롯한 국내외 유수 연구기관, 병원,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을 아우르는 다학제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특허, 논문, 수상 경력과 함께, 연구원들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첨단 실험기법을 바탕으로 미래 신소재 및 바이오융합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암, 뇌질환 등 난치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차세대 바이오센서 및 소프트 로봇 개발, 고기능성 신소재 창출 등 다양한 사회적·산업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생명현상의 근본적 이해와 혁신적 소재·기술 개발을 통해, 융합과 혁신의 중심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입니다.

Extracellular Matrix
Hydrogel Adhesion
Biotemplating
초다중 및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술 개발과 암·뇌 연구 응용
우리 연구실은 생체 조직 내 단백질, mRNA 등 다양한 생체분자의 공간적 분포와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초다중 및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분석은 조직의 공간 정보를 잃는 한계가 있었으나, 본 연구실에서는 조직의 공간적 맥락을 보존한 채 단일 세포 수준에서 수십 종 이상의 단백질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spatial omics'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PICASSO라는 독자적 기술을 통해 40개 이상의 단백질을 한 번에 이미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암 조직 내 미세환경의 분자적 다양성, 새로운 암 아형(subtype) 발굴, 면역항암제 반응성 예측 등 정밀의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팽창현미경(Expansion Microscopy) 기반의 조직 팽창 및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술을 세계 최초로 전유기체(whole organism)에 적용하여, 뼈를 포함한 생명체 전체의 단백질 분포와 생체 구조를 나노미터 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 기술은 뇌뿐만 아니라 신경계 전체, 다양한 장기 간의 상호작용, 발생 과정 등 생명현상의 체계적 이해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뇌질환, 암 등 복잡한 질병의 원인 규명과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이미징 기술을 바탕으로, 암 환자 샘플의 정밀 진단, 신약 개발, 뇌 신경망 분석 등 다양한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경과학, 암생물학, 조직공학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 연구를 통해 초고해상도·초다중 이미징 기술의 한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생체모사 하이드로젤 및 바이오템플레이팅 기반 신소재 개발
본 연구실은 생명체의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를 모사하거나 활용하여 기존 인공 소재보다 뛰어난 성능을 갖는 신소재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생체 내 단백질, 핵산, 다당류 등 친수성 고분자의 3차원 조립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다양한 기능성 하이드로젤을 합성하고 이를 조립하여 기존 하이드로젤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소재와 장치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 손의 구조와 기능을 모사한 하이드로젤 그리퍼, 자극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접착 하이드로젤, 빛의 파장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소프트 로봇용 하이드로젤 액추에이터 등이 대표적 성과입니다. 또한, 바이오템플레이팅(biotemplating) 기술을 통해 생명체 내 특정 단백질 구조를 주형(template)으로 활용하여, 금속, 무기물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합성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인공 합성법으로는 구현이 어려웠던 복잡한 3차원 구조와 우수한 기능성을 동시에 갖는 신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촉매, 배터리, 센서, 수전해 등 다양한 산업 및 바이오의료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하이드로젤의 미세 패터닝, 3D 프린팅, 수축/팽창을 통한 다중 복제 등 첨단 가공기술도 함께 개발하여, 소재의 구조적·기능적 다양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체모사 소재, 바이오전자소자, 조직공학, 소프트 로봇 등 미래 융합기술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1
Expansion microscopy imaging of whole mouse embryo bodies
ACS Nano, 2025.02
2
Fabrication of SERS devices using market-sourced meat
Advanced Science, 2025.01
3
Wavelength-selective heating of hydrogel structures
Materials Horizons, 2024.12
1
(통합EZ)(위탁1) 바이오 데이터 품질선도센터 (바이오이미징)(2024년도)
이화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2024년 ~ 2024년 12월
2
웨어러블 플랫폼소재 기술센터
한국연구재단
2024년 ~ 2024년 12월
3
(통합EZ)영장류 및 비영장류 spatial proteomics 기술 개발 및 관련 분석법 개발을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종간 다차원 비교 및 약리 시험 평가법 개발(2023년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3년 09월 ~ 2024년 0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