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Dimensional Fiber Laboratory (MFL)
고분자시스템공학부 엄원식
Multi-Dimensional Fiber Laboratory(MFL)은 섬유 방사부터 3D 프린팅에 이르기까지 다차원 섬유 소재의 개발과 응용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고분자, 나노소재, 복합재료를 기반으로 한 첨단 섬유의 제조 공정과 구조-물성 상관관계 해석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그래핀, MXene, 금속산화물 등 2차원 나노소재를 활용한 습식방사, 전기방사, 용융방사 등 다양한 방사 기법을 통해 고강도, 고전도, 내열성, 절연성 등 다양한 특성을 갖는 섬유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 및 이온 기반 전자재료 분야에서도 탁월한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슈퍼커패시터, 리튬이온/나트륨이온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전극 및 고분자 전해질 소재를 개발하고, 이온수송 케이블, 이온 회로, 인공근육, 블루에너지 하베스팅 등 이온 이동 현상을 활용한 신개념 소자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나노채널 기반 이온 케이블, 이온 선택성 멤브레인, 나노플루이딕 채널 등 첨단 구조체를 설계하여 신호전달, 에너지 변환, 인공신경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섬유 기반 센서 및 열관리 소재 분야에서도 연구실의 강점이 두드러집니다.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섬유형 센서, 전기화학 센서,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센서 소재를 개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텍스타일, 헬스케어 등 실생활에 밀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성능 열전도성/절연성 소재, 발열/방열 섬유, 고효율 히팅 엘리먼트 등 다양한 열관리 솔루션을 연구하며, 반도체, 우주항공, 자동차, 군사 등 극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소재와 구조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재의 미세구조 제어, 복합화, 계면공학, 대면적 제조공정 등 다양한 첨단 기술과 융합되어, 실용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수의 국내외 특허, SCI급 논문, 산업체와의 협력연구를 통해 연구성과가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가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학제 간 융합연구와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차세대 섬유공학 및 소재과학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Multi-Dimensional Fiber Laboratory는 미래형 섬유 소재 및 소자 개발을 통해 웨어러블, 에너지, 바이오,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통해 섬유공학 및 소재과학의 패러다임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MXene
Energy Harvesting
Graphene Fiber
섬유 방사 및 다차원 섬유 소재 개발
우리 연구실은 섬유 방사 공정과 다차원 섬유 소재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섬유 방사 기술은 고분자 및 나노소재를 이용하여 원하는 물성과 기능성을 갖는 섬유를 제조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고분자, 나노소재, 그리고 복합재료를 활용하여 섬유의 구조와 성능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있습니다. 특히, 2차원 나노소재(그래핀, MXene 등)를 활용한 습식방사, 전기방사, 용융방사 등 다양한 방사 기법을 연구하며, 섬유의 미세구조와 결정구조를 조절하여 기계적 강도, 전기전도도, 열전도도 등 다양한 특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섬유 방사 연구는 단순히 1차원 섬유에 국한되지 않고, 3D 프린팅 등 첨단 제조기술과 융합하여 다차원 구조체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을 통해 생체 조직 모사, 맞춤형 구조체 제작, 스마트 섬유 개발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섬유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구조적 다양성까지 확보하여,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공근육, 바이오메디컬 소재 등 혁신적인 응용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섬유의 구조-물성 상관관계 연구를 통해 소재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초고강도, 초고전도, 내열성, 절연성 등 다양한 특성을 갖는 섬유 개발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특허, 논문, 산업적 응용으로 이어지며, 섬유공학 및 소재과학 분야의 선도적 위치를 확립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 및 이온 기반 전자재료
본 연구실은 에너지 저장 소재와 이온 기반 전자재료의 설계 및 응용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슈퍼커패시터, 리튬이온/나트륨이온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전극 및 고분자 전해질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차원 나노소재(그래핀, MXene 등)와 고분자 복합체를 활용하여 전기화학적 성능을 극대화하고, 계면공학 및 구조제어를 통해 높은 에너지 밀도와 우수한 내구성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온 기반 전자재료 분야에서는 이온수송 케이블, 이온 회로, 이온 구동 인공근육, 블루에너지 하베스팅 등 다양한 이온 이동 현상을 활용한 신개념 소자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나노채널 기반 이온 케이블, 이온 선택성 멤브레인, 나노플루이딕 채널 등 첨단 구조체를 설계하여, 신호전달, 에너지 변환, 센서 및 인공신경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로봇, 웨어러블, 바이오전자 등 미래 융합기술의 핵심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물의 증발, 삼투압 차이, 전기화학 반응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 원리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도 개발 중입니다. 나노구조 멤브레인을 이용한 청정에너지 생산, 수처리, 인공신경망 등 혁신적 응용을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섬유 기반 센서 및 열관리 소재
우리 연구실은 섬유형 센서 소재와 열관리 소재의 설계 및 응용에도 큰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섬유형 화학센서, 전기화학 센서,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센서 소재를 개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텍스타일, 헬스케어 등 실생활에 밀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래핀, MXene, 금속산화물 등 나노소재와 고분자 복합체를 활용하여 높은 감도, 신속한 응답성, 내구성을 갖춘 센서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열관리 소재 분야에서는 고성능 열전도성/절연성 소재, 발열/방열 섬유, 고효율 히팅 엘리먼트 등 다양한 열관리 솔루션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우주항공, 자동차, 군사 등 극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소재와 구조를 설계하며, 5G/6G 통신, 첨단 전자기기, 에너지 절감 시스템 등 첨단 산업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재의 미세구조 제어, 복합화, 계면공학, 대면적 제조공정 등 다양한 첨단 기술과 융합되어, 실용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수의 특허와 논문, 산업체와의 협력연구를 통해 연구성과가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가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1
Physics of unraveling and micromechanics of hagfish threads
M. T. Hossain, D. Piorkowski, A. Lowe, W. Eom, A. Shetty, S. H. Tawfick, D. Fudge*, R. H. Ewoldt*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 2025
2
Capillary Migration of Peptide Nanowires for Surface Strengthening
H. Y. Lee, J. Lee, W. Eom*, W. J. Lee*
Biomacromolecules, 2025
3
The critical plastocapillary number for a Newtonian liquid filament embedded into a viscoplastic fluid
M. T. Hossain, W. Eom, A. Shah, A. Lowe, D. Fudge, S. H. Tawfick, R. H. Ewoldt*
Journal of Non-Newtonian Fluid Mechanics, 2025
1
초고회전 탄력성 콜로이드 섬유의 이온 자극 구동화를 통한 고출력, 초고속 인공근육
2
비틀림 탄성이 뛰어난 나노조립섬유의 방사와 이를 응용한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