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장용훈 연구실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장용훈 교수

장용훈 연구실은 기계공학 분야에서 나노 및 마이크로 스케일의 마찰, 마모, 접촉 현상에 대한 심층 연구를 수행하는 선도적인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트라이볼로지(마찰마멸공학), 접촉역학, 탄성학, 열탄성학 등 기초 역학 이론을 바탕으로, 미세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정밀하게 해석하고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마이크로 스케일에서의 마찰 및 마멸 거동, 접촉 분포, 열 및 전기적 특성 변화 등은 기존의 거시적 이론과는 다른 복잡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이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적·수치적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특히 딥러닝 기술을 트라이볼로지 및 용접 해석 분야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기존의 해석적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CCD 이미지, 스펙트럼 신호, 센서 데이터 등 다양한 실험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을 통해 용접 품질 평가, 마찰 및 마모 예측, 진동 저감 시스템 설계 등 실질적인 산업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기계공학적 전통 해석 방법과 인공지능 기술의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접촉역학 및 전기 접촉 저항 해석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멀티스케일 해석, 통계적 모델링, 유한요소해석,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실제 접촉면에서의 미세 접촉점 분포, 군집화 현상, 열적·전기적 특성 변화를 정밀하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전도성 벨크로 개발, 접촉 저항 저감 기술, 반복 하중 및 진동에 따른 접촉 신뢰성 평가 등 실질적인 산업 문제 해결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동차, 에너지, 전자기기, 수송장치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신뢰성, 고효율 부품 개발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을 제공합니다. 나노/마이크로 스케일에서의 마찰 및 마멸 현상, 딥러닝 기반 예측 및 제어, 접촉역학 및 전기 접촉 저항 해석 등은 제품의 내구성 향상, 에너지 손실 최소화, 미세구조 제어 등 다양한 산업적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장용훈 연구실은 앞으로도 첨단 해석 기법과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여,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 개발과 실질적인 기술 이전, 상용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산업 현장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문제 해결과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계획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