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Molecular Metabolism & Exercise Biochemistry Lab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김현우 교수

Molecular Metabolism & Exercise Biochemistry Lab(김현우 교수 연구실)은 운동이 신체 내 다양한 기관과 조직에 미치는 분자적, 생화학적 기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선도적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근육과 뼈를 중심으로 한 근골격계의 상호작용, 운동에 의해 분비되는 다양한 생리활성 인자(마이오카인, 오스테오카인 등)의 기능, 그리고 이들이 대사질환, 노화,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운동 중 근육과 뼈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및 호르몬이 신체 내 다른 기관과 어떻게 신호를 주고받으며, 전신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분자생물학, 단백질체학, 대사체학 등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하여 규명하고 있습니다. iSLET, MS 분석 등 최신 연구기법을 적용해 생체 내 분비체의 실시간 추적 및 기능 분석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운동의 건강증진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주 환경과 같은 미세중력 조건에서 근육과 뼈의 변화, 그리고 이로 인한 대사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기전을 연구함으로써, 극한 환경에서의 생명 유지 및 건강관리 전략 수립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미세중력 환경에서의 근골격계 변화 연구는 우주 탐사 시대에 필수적인 의생명과학적 기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상에서의 노화 및 질환 연구에도 새로운 통찰을 제시합니다. 운동 유래 호르몬(이리신 등)의 대사 및 신경계 건강 조절 기전 연구도 본 연구실의 핵심 분야입니다. 이리신의 수용체 규명, 신경계 및 대사질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를 활용한 신약 개발 및 치료 전략 수립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운동이 전신 건강에 미치는 분자적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처럼 본 연구실은 근골격계 생리, 대사질환, 신경계 질환, 우주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운동의 건강증진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미래 의생명과학 및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