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ymer & Organic Semiconductor Laboratory
울산과학기술원 화학과
김봉수 교수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Photoactive Materials
Organic Solar Cells
화학과 김봉수
Polymer & Organic Semiconductor Laboratory(고분자 및 유기반도체 연구실)는 공액 고분자 및 유기 소재를 기반으로 차세대 에너지 및 전자소자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유기 태양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유기 열전소자,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고성능 신소재의 설계, 합성, 특성분석 및 소자 제작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기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비대칭 논-풀러렌 수용체, 고분자-고분자 블렌드의 3차원 나노구조 제어, 친환경 비할로겐 용매 공정 등 혁신적인 접근법을 통해 고효율, 고안정성, 대면적화가 가능한 태양전지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또한, 실내광용 유기 태양전지, 투명/반투명 태양전지, 웨어러블 에너지 소자 등 다양한 응용을 위한 소재 및 소자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용액공정 기반의 고해상도 패터닝 및 다차원 가교제 기술 개발도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자체 개발한 다차원 가교제(4Bx, 6Bx 등)를 활용하여 유기 트랜지스터, 논리회로, OLED, QD-LED 등 다양한 소자에 고해상도 패턴을 구현하고, 소재의 본래 특성을 유지하면서 소자 내구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양자점 및 유기 발광 소재의 미세 패턴 구현 기술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산업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고분자 열전소자, 플렉시블/웨어러블 전자소자, 고감도 이미지 센서, 고효율 광전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소재 합성부터 소자 제작, 실용화 단계까지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미래 에너지 및 전자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유수 학술지 논문 발표, 특허 출원 및 등록, 산학협력,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 수행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혁신적인 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전자 분야의 패러다임을 선도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