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s Neuro Lab
생명과학과 정민환
시스템 신경과학 연구실은 뇌의 복잡한 신경회로가 어떻게 행동, 학습, 기억, 의사결정, 사회성 등 고차원적인 인지 기능을 구현하는지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전두피질, 해마, 기저핵 등 다양한 뇌 영역의 신경세포 및 신경회로가 가치 기반의 의사결정, 보상 학습, 행동 선택, 기억 공고화, 사회적 행동 등 다양한 인지 및 행동 기능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동물 모델, 전기생리학, 칼슘 이미징, 유전자 조작 등 첨단 신경과학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강화학습 이론과 신경회로의 실제 작동 원리를 접목하여, 동물이 예기치 못한 결과나 보상을 경험할 때 뇌가 어떻게 행동 전략을 신속하게 전환하고, 가치 신호를 계산 및 업데이트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선조체(기저핵), 전전두피질, 해마가 각각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집중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행동 유연성, 적응적 의사결정, 보상 신호 처리의 신경기전을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해마의 다양한 하위 영역(예: CA1, CA3, 치상회 등)이 기억의 형성, 저장, 인출, 공고화 과정에서 각각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지, 그리고 이들 영역 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해마의 시뮬레이션-선택 모델, 가치 평가 신경회로, 시냅스 가소성, 신경세포 생성 등 미세한 분자·세포 수준의 변화가 기억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사회적 행동, 사회적 신호 처리, 그리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조현병 등 신경정신질환의 신경회로 기전 연구도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사회적 결함, 행동 경직성, 보상 학습 이상이 특정 신경세포 및 신경회로의 기능 이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리고 분자적·세포적 수준에서의 변화가 사회적 행동 및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합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뇌신경회로의 정상 및 병적 상태에서의 인지 및 행동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알츠하이머병, 치매,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다양한 신경퇴행성 및 신경정신질환의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는 뇌의 복잡한 정보처리 원리를 밝히고, 인간의 인지 및 행동의 신경생물학적 기반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Neural Circuitry
Episodic Memory
Neural Circuits
뇌신경회로의 의사결정 및 보상학습 메커니즘
본 연구실은 뇌신경회로가 어떻게 의사결정과 보상학습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전두피질, 기저핵, 해마 등 다양한 뇌 영역이 가치 기반의 의사결정, 행동 선택, 그리고 보상 신호의 처리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동물실험과 신경생리학적 기법을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행동 실험, 전기생리학, 칼슘 이미징, 유전자 조작 동물 모델 등 첨단 신경과학 기법을 활용하여 신경회로의 동적 변화와 신호 전달 과정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강화학습 이론과 신경회로의 실제 작동 원리를 접목하여, 동물이 예기치 못한 보상이나 결과를 경험할 때 뇌가 어떻게 행동 전략을 신속하게 전환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선조체(기저핵)와 전전두피질이 각각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택 전략의 신속한 적응, 가치 신호의 계산 및 업데이트, 행동 유연성의 신경기전을 밝히는 논문들이 다수 발표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조현병 등 신경정신질환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결함, 행동 경직성, 보상 처리 이상 등의 원인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뇌신경회로의 정상 및 병적 상태에서의 의사결정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뇌질환의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억과 학습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및 해마의 역할
본 연구실은 기억과 학습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해마(hippocampus)와 관련 뇌 영역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탐구하고 있습니다. 해마의 다양한 하위 영역(예: CA1, CA3, 치상회 등)이 기억의 형성, 저장, 인출 과정에서 각각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지, 그리고 이들 영역 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행동실험, 전기생리학,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통해 분석합니다.
특히, 해마가 새로운 경험을 신속하게 저장하고, 이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기억 공고화’ 과정에서 어떻게 시뮬레이션과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해마 CA3 영역이 다양한 시퀀스를 생성하고, CA1 영역이 이 중 보상 극대화에 유리한 시퀀스를 선택·강화하는 시뮬레이션-선택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강화학습 알고리즘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해마와 전전두피질, 기저핵 등과의 상호작용이 기억의 맥락화, 가치 부여, 행동 전략의 선택 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그리고 신경가소성, 시냅스 가소성, 신경세포 생성 등 미세한 분자·세포 수준의 변화가 기억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도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치매, 기억장애 등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병태생리 이해와 치료법 개발에도 중요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사회적 행동과 신경정신질환의 신경회로 기전
연구실은 사회적 행동, 사회적 신호 처리, 그리고 이와 관련된 신경정신질환(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 조현병 등)의 신경회로 기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전전두피질 및 해마, 기저핵 등 주요 뇌 영역이 사회적 신호와 보상 신호를 어떻게 처리하고 통합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경세포의 발화 패턴, 시냅스 가소성, 신경회로의 동적 변화를 분석합니다.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 모델 마우스에서 사회적 신호 처리의 결함, 행동의 경직성, 보상 학습의 이상 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특정 신경세포(예: 파르발부민 양성 인터뉴런, 소마토스타틴 양성 인터뉴런 등)의 기능 이상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NMDA 수용체, 도파민 신호, 시냅스 연결성 등 분자적·세포적 수준에서의 변화가 사회적 행동 및 인지에 미치는 영향도 다각적으로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사회적 결함의 신경생물학적 원인을 밝히고, 행동 유연성, 사회성 회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예: 보상 학습 기반 중재, 신경회로 조절 등)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1
Selective engagement of prefrontal VIP neurons in reversal learning.
Yi JH*, Yoon YJ*, Jeong H, Choe SY, Jung MW (* Co-first authors)
Science Advances, 2025
2
Striatal arbitration between choice strategies guides few-shot adaptation
Yang MA, Jung MW, Lee SW
Nature communications, 2025
3
Memory consolidation from a reinforcement learning perspective
Lee JW, Jung MW
Frontiers in Computational Neuroscience, 2025
1
(통합EZ)(윤미루)(1/1차년도)뇌 전반에서 건강 및 우울증 상태에 따른 생체 내 실시간 세로토 닌 분비 지도에 대한 연구(2024년도)
2
(통합EZ)(정희정) (1/1차년도)안와전두피질 내 미래 및 과거연합의 학습과 그것이 도파민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2023년도)
3
핵심연구지원센터(Core-Facility) 조성 지원(2021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