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강진수 교수
강진수 연구실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소속으로, 전기화학공학을 기반으로 한 첨단 에너지 및 환경 소재·시스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기화학적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자원 회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나노구조 촉매, 고성능 전극 소재, 혁신적 전기화학 시스템 설계 등 다학제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촉매, 연료전지용 고효율 산소환원 및 산화반응 촉매, 이차전지 및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소재 등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귀금속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활성과 내구성을 갖춘 전이금속 기반 촉매, 코어-셸 구조 나노입자, 이종원소 도핑 탄소 소재 등 다양한 혁신적 소재를 개발하여, 실제 에너지 장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리튬, 마그네슘, 암모늄 등 주요 금속 이온의 선택적 전기화학적 회수, 사용 후 이차전지 및 산업 폐수로부터의 자원 재생,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포집 및 환원 등 자원순환과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전기화학적 인터칼레이션 전극, 선택적 이온 투과막, 나노구조 전극 소재 등 첨단 소재와 시스템을 활용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환경 친화적인 자원 회수 및 탄소중립 공정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실은 전기화학적 반응 메커니즘의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촉매 및 전극 소재의 활성·선택성·내구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합성 및 표면개질 전략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시스템의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 소재 및 기술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강진수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산학연 협력과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 통합형 인력양성, 이차전지 핵심 기술 개발, 탄소중립 및 자원순환 기술 개발 등 국가적·사회적 현안 해결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에너지와 환경 분야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에 앞장설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