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대학교 해양신소재융합공학과 이병우 교수
이병우 연구실은 전자세라믹스 및 기능성 산화물 소재의 합성과 특성 평가,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첨단 응용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는 연구실입니다. 연구실은 BaTiO3, PZT, ZnO, TiO2 등 다양한 산화물 소재의 저온 합성, 수열합성, 공침법 등 혁신적인 공정 개발을 통해 고순도, 미세입자,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분말 및 박막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전자부품, 센서, 촉매, 에너지 변환 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복합 도펀트 적용을 통한 특성 제어 및 고밀도 소결체 제조 기술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초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Ni-Cr계 초합금의 내열성, 내식성, 내마모성 향상을 위한 표면개질 및 코팅 기술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물리적 기상증착, 수열처리, 확산코팅 등 다양한 표면처리 공정을 적용하여 합금 표면에 치밀한 산화물 또는 세라믹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온 산화 및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원자력 발전, 해양플랜트, 초고온 열교환기 등 극한 환경에서 요구되는 구조재료의 신뢰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 저감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촉매 및 환경 기능성 세라믹스 개발도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TiO2, WO3, V2O5 등 산화물 기반의 SCR 촉매, 광촉매, 전자파 차폐용 도전성 고무 등 다양한 환경 소재의 합성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NOx, 유기오염물질,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 환경유해물질의 효율적 제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한 도전성 실리콘고무, EPDM 고무의 제조 및 전자파 차폐 특성 향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연구실은 다양한 나노구조체의 합성 및 특성 분석, 복합소재 개발, 신기능성 소재의 실용화 연구 등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와 산업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병우 연구실은 전자세라믹스 및 기능성 산화물 소재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실로, 첨단 소재의 설계와 공정 혁신을 통해 미래 산업과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은 전자,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과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