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약학과 조은정 교수
조은정 연구실은 약학과를 기반으로 유전자 발현과 후성유전학적 조절, 그리고 크로마틴 구조 변화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RNA 중합효소 II의 인산화, 히스톤 변형, 히스톤 샤페론의 기능 등 다양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유전자 발현 조절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세포 분화, 근육 형성, 암세포의 표현형 전환 등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에서 유전자 발현의 동적 조절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롱 논코딩 RNA(long non-coding RNA, lncRNA)와 크로마틴 구조 조절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연구실의 대표적인 강점입니다. ChRO1과 같은 근육 특이적 lncRNA가 헤테로크로마틴의 조직화와 근육 및 심장 기능 유지에 필수적임을 동물 모델과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근위축증, 근감소증, 심장질환 등 난치성 질환의 새로운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후성유전학적 조절자(예: Menin, DAXX/ATRX, Polycomb 단백질 등)의 기능과 상호작용, 그리고 이들이 암 발생 및 진행, 세포 노화, 근육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발병 기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후성유전학적 변이가 질환의 발병과 연관되는 분자적 경로를 규명하고, 신약 개발 및 바이오마커 발굴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가 및 국제 연구 프로젝트, 특허 출원, 그리고 활발한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연구실은 국내외적으로 높은 연구 역량과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연구 성과는 기초과학의 발전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적 응용과 산업적 가치 창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조은정 연구실은 유전자 발현과 후성유전학, 크로마틴 구조 조절, 롱 논코딩 RNA의 기능 등 생명과학의 핵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지속하며, 난치성 질환 극복과 미래 정밀의학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