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심혈관마취 및 심폐우회술 중 환자 관리
심혈관마취는 심장 수술 및 중재 시 환자의 생리적 항상성을 유지하고,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을 예방 및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심장수술 환자에서의 마취 관리, 특히 심폐우회술(CPB) 중 발생하는 염증 반응, 고젖산혈증, 혈역학적 변화 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심폐우회술은 전신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예: IL-6, TNF-α)과 고젖산혈증의 상관관계, 그리고 이들이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마취 및 중환자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혈관마취 분야에서는 유전자 다형성, 약물 반응성, 환자 맞춤형 마취 전략 등 다양한 최신 연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LOX5AP 유전자 다형성과 말초동맥질환(PAD) 발생 위험의 연관성, TNF-α 유전자 다형성과 심폐우회술 후 염증 반응의 차이 등을 분석하여, 환자 개개인에 맞는 최적의 마취 및 수술 후 관리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환자 안전을 높이고, 수술 후 회복을 촉진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심혈관마취와 관련된 의료기기 개발, 예측 알고리즘, 실혈량 예측 시스템 등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실시간 환자 상태 모니터링, 합병증 조기 예측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중증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 증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마취약리학 및 맞춤형 마취 전략
마취약리학은 다양한 마취제 및 진정제의 약리작용, 환자별 반응성, 부작용 및 안전성 평가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집니다. 본 연구실은 마취제의 용량 조절, 약물 대사, 유전적 요인에 따른 약물 반응 차이, 그리고 신경근 차단제의 최적 투여 전략 등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이완제(로쿠로늄 등)의 용량 결정 시 체중이 아닌 근육량을 기준으로 한 투여법의 유효성, 마취제 투여 후 회복 시간 및 부작용 발생률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마취 전략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아 및 고령 환자, 특수 질환 환자(예: 신경계 질환, 간질환, 심장질환 등)에서의 마취 관리에 대한 임상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마취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합병증(예: 각성, 초조, 통증, 대사성 산증 등)에 대한 예방 및 치료법 개발, 그리고 마취 심도 평가 알고리즘(예: BIS, CAI 등) 개발을 통해, 환자 안전과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 다형성(GABRA1 등)과 마취제 반응성의 연관성 연구는 개인 맞춤형 마취의 실현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마취약리학 연구는 의료기기 및 센서 개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인공지능 기반 예측 모델 등과도 연계되어, 임상 현장에서의 실시간 환자 상태 평가 및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를 통해, 마취과학의 발전과 환자 중심의 의료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3
의료기기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의료기기 및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심전도 센서, 신경근 이완 감시 장치, 실혈량 예측 시스템, 호흡량 측정 장치 등 다양한 혁신적 의료기기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료기기들은 환자의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고, 의료진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 안전과 치료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진단·예측 시스템, 원격의료 플랫폼, 스마트 모빌리티 의료 시스템 등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기반 비대면 진료 시스템, 고령자 건강관리 서비스, 치매환자 돌봄서비스, 스마트 산부인과 모빌리티 등 다양한 국가 및 산업체 과제를 수행하며, 미래형 의료 환경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맞춤형 치료, 의료 접근성 향상, 의료진의 업무 부담 경감 등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더불어,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의 산학협력, 공동연구, 임상시험 등을 통해 의료기기 상용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 의료기술의 국제적 경쟁력 강화와 첨단 의료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