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고현헙 교수
KoLab 연구실은 유기 및 무기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나노소재와 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나노와이어, 나노입자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활용하여 전자, 광학, 센서, 바이오메디컬 소자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소재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미세 및 나노 구조의 정밀한 조립과 제어를 통해 그 특성이 극대화되며, 차세대 융합 소자 개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바텀업' 조립과 '탑다운' 리소그래피를 결합한 혁신적인 제작 전략을 도입하여, 유기 및 무기 나노소재를 계층적으로 조직화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용액 기반의 바텀업 조립법과 다양한 비정통적 리소그래피 기법(소프트 리소그래피, 콜로이드 조립, 고분자 자기조립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대면적, 저비용, 고효율의 나노소자 제작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나노소재의 집적도와 정렬도를 높이고, 소자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나노소재 및 구조체의 표면 화학, 물리적 구속, 계층적 구조 설계 원리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나노소재의 집합적 거동과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며, 맞춤형 기능성 구조체를 구현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전자피부, 웨어러블 센서, 인공 감각 시스템 등 실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플랫폼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KoLab은 개발된 소재와 소자를 전자, 광학, 센서, 바이오메디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초고감도 압력 센서, 인공 촉각 시스템, 바이오 신호 모니터링 디바이스, 자가발전형 나노발전기 등 차세대 융합 소자를 통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건강 모니터링, 스마트 의료기기, 환경 감지 등 실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융합적 연구는 미래 전자, 바이오, 에너지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와 산업계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KoLab은 나노공학과 소재공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창의적 연구를 통해, 차세대 기능성 소재 및 소자 개발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