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Air Pollutant Monitoring and Control Lab

전북대학교 환경공학과 김용현 교수

Air Pollutant Monitoring and Control Lab(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및 제어 연구실)은 대기 중 다양한 오염물질의 정량적 분석, 발생 특성 규명, 그리고 이로 인한 인체 및 환경 유해성 평가를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선도적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미세먼지(PM), 담배 연기 및 전자담배 에어로졸 등 다양한 대기오염원의 유해성분을 첨단 분석 장비를 활용하여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들의 노출 경로와 건강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속-유기 골격체(MOFs)와 같은 신소재를 활용한 대기오염물질의 고효율 포집 및 분석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MOF 기반 흡착관과 열탈착-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TD-GC-MS) 시스템을 결합한 분석법은 기존 상용 흡착제에 비해 높은 감도와 선택성을 제공하며, 복잡한 전처리 과정 없이 신속하게 대기 중 극미량 유해물질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실내외 대기, 산업현장, 생활환경 등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의 실증 연구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 미세입자(APM) 및 담배 연기 에어로졸의 발생 특성, 화학적 조성, 그리고 이들의 생체 독성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자동화된 담배 연기 채취 및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다양한 담배 제품 및 기기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 분포, 유해 화학물질 농도, 그리고 이들의 폐 및 호흡기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 및 세포실험을 통해 평가하고 있습니다. 신종 담배 제품(가열담배, 전자담배 등)의 특이적 유해성분 발생 메커니즘 규명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대기오염물질의 발생원별 특성 분석, 산업단지 및 생활환경에서의 대기질 변화 모니터링, 오염물질 저감 및 관리 기술 개발, 환경보건 기준 마련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연구 결과는 대기오염 관리 정책 수립, 환경보건 기준 마련, 신종 담배 제품의 안전성 평가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중요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Air Pollutant Monitoring and Control Lab은 국민 건강 보호와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목표로, 대기오염물질의 체계적 분석과 유해성 평가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며, 환경보건 및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