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정운룡 교수
Hybrid Nano Materials Lab.(정운룡 교수 연구실)은 신소재공학과를 기반으로 유·무기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소재, 신축성 전자소자 및 전자피부(E-skin) 등 첨단 융합 소재 및 소자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나노입자, 나노와이어, 나노튜브 등 다양한 무기 나노구조체와, 고분자, 하이드로젤, 생분해성 소재 등 유기 나노소재의 합성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화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축성, 투명성, 전도성, 생체적합성 등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차세대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축성 전자소자 및 전자피부(E-skin)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신축성 전도체, 트랜지스터, 센서(압력, 온도, 생체신호 등),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 전자피부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들을 소재 설계부터 공정, 집적화까지 전주기적으로 연구합니다. 미세입자 어셈블리, 패터닝, 프린팅, 나노임프린트, 광리소그래피 등 다양한 미세가공 및 집적기술을 개발하여, 고해상도, 대면적, 고신뢰성의 전자피부 시스템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인체의 다양한 생체신호(심전도, 근전도, 호흡, 맥박 등)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는 고감도 바이오센서 및 웨어러블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하이드로젤, 전도성 고분자, 나노입자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피부에 밀착되는 센서, 이식형 센서, 무선 패치 등 다양한 형태의 바이오센서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만성질환 모니터링, 재활, 스포츠, 원격의료 등 다양한 헬스케어 분야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합성뿐만 아니라, 미세입자 어셈블리, 패터닝, 프린팅, 나노임프린트, 광리소그래피 등 다양한 공정기술을 활용하여 나노구조체의 집적 및 대면적화, 고해상도 패터닝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을 극대화하고, 실제 디바이스로의 응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성과는 세계적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으로 발표되고, 국내외 특허 및 상용화 프로젝트로 이어지며, 미래형 스마트 헬스케어, 로봇,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공피부, 바이오메디컬 센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Hybrid Nano Materials Lab.은 융합적 사고와 창의적 연구를 바탕으로, 차세대 소재·소자 기술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