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ha Kim's Laboratory
첨단바이오융합대학 김은하
Eunha Kim's Laboratory는 첨단바이오융합대학에 소속된 연구실로, 형광 프로브, 인돌리진 유도체, 생체직교 클릭 화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다수의 논문과 특허를 통해 연구 성과를 입증하였으며, 특히 인돌리진 유도체를 이용한 세포 이미징 및 질병 진단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제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으며, 여러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용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Biorthogonal Click Chemistry
Indolizine Derivatives
Fluorescent Probes
바이오정밀의약 개발 및 응용
첨단바이오융합대학의 은하 김 연구실은 다양한 바이오정밀의약 개발 및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로 히알루론산 복합체와 인돌리진 유도체를 활용하여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들을 피부 질환 및 면역 질환 치료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생체 내 환경에 적합한 약물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고도화된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형광 탐지 기술을 통해 진단 및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형광 화합물 및 바이오센서 기술
은하 김 연구실에서는 인돌리진 유도체를 포함한 형광 화합물과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세포 이미징 및 질병 진단을 위한 고감도, 고특이성 탐지 기술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생체 내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형광 화합물을 합성하여,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 및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 검출 및 pH 측정과 같은 구체적인 응용 분야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1
Investigation of proteome-tetrazinereactivity discovered3-cyclopropyl-6-phenyl-1,2,4,5-tetrazine as a minimal background biorthogonal click reagent in live cell.
Juhee Hahm, Junyoung Park, Hwan Min Hwang, Soyeon Lee, Sanghee Lee*, Eunha Kim*, Jongmin Park*
, 2024
2
Fixative eXchange (FX)-seq: scalable single nucleus RNA sequencing enables profiling oftranscriptomes of heavily PFA-fixed or FFPE mouse and human tissues.
Han-Eol Park, Yu Tak Lee, Junsuk Lee, Hyelin Ji, Young-Lan Song, Jaewon Lee, Sung-Yon Kim, Junho K. Hur, Eunha Kim, Chung Whan Lee, Yoon Dae Han, Hyunki Kim, Chang Ho Soh*
, 2024
3
All-in-one organic ligand for emitting perovskite nanocrystals: Efficient dispersion, photocurable and charge transporting capability
Na Young Cho, Ji Won Jang, Byeong M. Oh, Gyeong Eun Seok, Haewoon Seo, Sang-Wook Kim, Jincheol Kim, Eunsu Kim, Eunha Kim, Hyosung Choi, Bo Ram Lee, Jin Woo Choi*, Jong H. Kim*
Chem. Eng. J.,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