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미혜 연구실

우석대학교 한의학과 기초한의학

김미혜 교수

김미혜 연구실

한의학과 기초한의학 김미혜

김미혜 연구실은 한의학의 기초 이론과 현대 네트워크 약리학,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융합하여 다양한 질환의 치료법을 개발하고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사질환, 비만, 골다공증, 피부질환, 탈모 등 현대인의 건강 문제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며, 동물 모델, 세포 실험, 네트워크 분석, 임상시험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약재 및 복합 추출물의 효능과 작용기전을 네트워크 약리학적으로 분석하여, 지방 대사 조절, 골 형성 촉진, 면역 반응 조절, 염증 억제 등 다양한 생리적 효과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황기, 오미자, 음양곽, 포공영, 반하, 당귀 등 전통 한약재를 활용한 항비만, 항골다공증, 항피부염, 발모 촉진 등 다각적 연구를 통해, 한의학의 현대적 가치와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폐경기 여성의 비만 및 골다공증, 만성 염증성 질환, 피부질환, 탈모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맞춤형 한의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동물 실험과 임상시험을 병행하여, 한약 복합제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고,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특허 출원 및 산업적 기술 이전을 통해 연구 성과의 사회적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네트워크 약리학 기반의 오믹스 데이터 분석, 한의 병증 맞춤 치료제 개발, 건강보험 한약제제의 효능 검증 등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한의학의 과학화와 표준화, 그리고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한의학과 현대 과학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 개발과 임상적 근거 창출에 지속적으로 힘쓸 예정입니다.

한의학 기반 대사질환 및 비만 치료 연구
본 연구실은 한의학적 이론과 현대 네트워크 약리학을 융합하여 대사질환, 특히 비만 및 지방 대사 이상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한약재 및 복합 추출물의 효능을 동물 모델과 세포 실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검증하며, 지방 합성 억제, 지방 분해 촉진, 식이 섭취 조절 등 다양한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황기, 포공영, 반하, 오미자, 음양곽 등 전통 한약재의 항비만 효과와 작용기전을 네트워크 약리학적으로 분석하여, 지방세포의 크기 감소와 지방 조직의 양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특히, 지방 분해용 한약 조성물의 국소 주사제 개발 및 효능 검증, 지방 합성 인자 및 식이 섭취 조절을 통한 항비만 효과, 그리고 폐경기 여성의 비만 개선을 위한 한약 복합제의 효능 평가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 실험뿐만 아니라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진행되며, 실제로 특허 출원 및 산업적 활용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실은 한의학적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을 더욱 심화시켜, 맞춤형 한의치료법, 건강기능식품 개발, 그리고 임상적 근거 창출에 이바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한의학의 과학화와 현대화, 그리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골다공증 및 골대사질환에 대한 한약제제 개발
김미혜 연구실은 폐경기 여성 및 노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골다공증과 골대사질환을 대상으로, 한약 복합제 및 천연물 유래 성분의 골 형성 촉진 및 골 흡수 억제 효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Osteo-F, Palmul-tang, Schizandra chinensis, Lycium chinense, Eucommia ulmoides 등 다양한 한약재 및 복합 추출물의 골대사 조절 효과를 동물 모델, 세포 실험, 임상시험을 통해 다각적으로 검증하였습니다.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을 통해 골 형성 관련 신호전달 경로(BMP-2, Runx2, Osterix 등)와 골 흡수 억제 기전을 밝혀내고, 실제로 골밀도(BMD), 골형성지표, 혈청 생화학적 지표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특히, 폐경기 여성의 골 손실 억제 및 골 형성 촉진을 위한 한약 복합제의 임상시험을 수행하여, Osteo-F의 골밀도 개선 및 골형성지표 상승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관련 특허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RANKL/NFATc1 신호전달 억제, 골모세포 분화 촉진, 파골세포 생성 억제 등 분자 수준의 작용기전을 규명하여 한약제제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적 골대사질환 치료의 표준화 및 현대화에 기여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물 기반 골다공증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임상적 근거 창출과 더불어, 맞춤형 골대사질환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피부질환 및 탈모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기전 연구
연구실은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탈모 등 다양한 피부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기전과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황기, 형개, 인진호, 오미자, 당귀, 포모노네틴, 아스트라갈로시드 IV 등 한약재 및 천연물 유래 성분의 항염증, 항알레르기, 면역조절,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동물 모델, 세포 실험,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을 통해 입증하였습니다. 특히,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을 위한 한약 복합제 및 단일 성분의 작용기전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하고, 실제로 모발 성장 촉진, 모낭 세포 사멸 억제, 염증 반응 조절 등 다양한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피부염 관련 연구에서는 면역세포 침윤 억제, 사이토카인 조절, NF-κB 및 MAPK 신호전달 억제 등 다양한 기전을 밝혀내어, 피부질환 치료제 개발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수의 특허 출원 및 산업적 활용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한의학 기반 피부질환 및 탈모 치료제의 개발, 임상적 근거 창출, 그리고 맞춤형 한의치료법 제시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1
IFN-γ/TNF-α Synergism Induces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Chemokine Production by In Vitro Canine Keratinocytes
Jung Kyungsook, Ku Ji-Yeong, Kwon Je-Seong, Won Gayeon, Yoon Hakyoung, Oh Sang-Ik, Kim Mi Hye, Kim Chongchan, Yoon Ji-Seon
VETERINARY SCIENCES, 202501
2
Zanthoxylum piperitum Benn. Attenuates Monosodium Urate-Induced Gouty Arthritis: A Network Pharmacology Investigation of Its Anti-Inflammatory Mechanisms
Kim Sung Wook, Jeong Soo Hyun, Kim Jong Uk, Kim Mi Hye, Lee Wonwoong, Lee Cheol-Jung, Yook Tae Han, Yang Gabsik
PHARMACEUTICALS, 202501
3
Prevalence of Bacterial Pathogens Isolated from Canines with Pyoderma and Otitis Externa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anveer Maryum, Ntakiyisumba Eurade, Hirwa Fabrice, Yoon Hakyoung, Oh Sang-Ik, Kim Chongchan, Kim Mi Hye, Yoon Ji-Seon, Won Gayeon
VETERINARY SCIENCES, 202412
1
네트워크 약리학 기반 장 염증질환에서의 복숭아씨의 효과 연구
한국연구재단/우석대학교 교원인사팀
2024년 04월 ~ 2024년 12월
2
네트워크 클러스터 기반 한국인 특이 다낭성난소증후군 오믹스 데이터 연계 한의치료법 연구
한국연구재단
2024년 04월 ~ 2025년 03월
3
한의 병증 맞춤 난치성 다낭성난소증후군 치료를 위한 건강보험 한약제제 효력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