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Integrated NanoSystems Laboratory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자공학과

이정협 교수

Analog Circuits

Neural Stimulators

Biopotential Acquisition

Integrated NanoSystems Laboratory

전자공학과 이정협

Integrated NanoSystems Laboratory는 전기전자컴퓨터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아날로그 및 혼합 신호 집적회로, 바이오메디컬 센서, 신경 인터페이스, 무선 통신 회로 기술을 연구하는 선도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초저전력, 고성능, 고신뢰성 회로 설계를 통해 차세대 바이오메디컬, IoT, 인공지능 하드웨어 플랫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아날로그 및 혼합 신호 집적회로 설계 분야에서는 공정, 전압, 온도 변화에 강인한 회로 구조와 초저전력 동작이 가능한 다양한 회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생체 신호 측정, 센서 인터페이스, 무선 통신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국제 반도체 학회에서 다수의 논문이 채택되는 등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바이오메디컬 센서 및 신경 인터페이스 시스템 분야에서는 뇌-기계 인터페이스, 웨어러블 진단기기, 전자약 등 미래 의료기술의 핵심이 되는 하드웨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움직임 아티팩트와 전기 자극 간섭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게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명·유연 신경 프로브, 다채널 신경 기록 시스템, 실시간 신경 회로 대체 하드웨어 등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무선 통신 및 IoT용 초저전력 회로 기술 분야에서는 저전력, 저비용, 소형화된 무선 송수신기, RF-to-DC 변환기, 멀티모드 수신기 등 다양한 회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체 삽입형 센서,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IoT 환경에 적용되고 있으며, 무선 시스템의 소형화와 집적화, 에너지 효율 극대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Integrated NanoSystems Laboratory는 앞으로도 시스템 온 칩(SoC) 설계, 신경 신호 측정 및 자극, 차세대 무선 통신,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첨단 분야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실용화 가능한 고성능 집적회로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창출할 것입니다.

Analog Circuits
Neural Stimulators
Biopotential Acquisition
아날로그 및 혼합 신호 집적회로 설계
아날로그 및 혼합 신호 집적회로 설계는 Integrated NanoSystems Laboratory의 핵심 연구 분야 중 하나로, 초저전력, 고성능, 고신뢰성 회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환경 변화(공정, 전압, 온도)에 강인한 회로 구조를 설계하며, 이를 통해 생체 신호 측정, 무선 통신, 센서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집적회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전압 및 저전력 동작이 가능한 회로 설계 기술을 통해 웨어러블 및 이식형 의료기기, IoT 디바이스 등 차세대 전자 시스템의 핵심 부품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아날로그 회로의 잡음 특성 개선, 전력 효율 극대화, 신호 왜곡 최소화 등 다양한 기술적 도전을 해결하기 위해 차동 구조, 스윙 부스팅, 노이즈-쉐이핑 등 첨단 회로 설계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센서 신호(저항, 용량, 전류 등)를 고정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회로(Capacitance-to-Digital, Current-to-Digital, RC-to-Digital 등) 개발에 있어서도 세계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회로들은 국제 반도체 학회(ISSCC, CICC, VLSI 등)에서 다수의 논문이 채택될 만큼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실은 더욱 복잡한 시스템 온 칩(SoC) 설계, 신경 신호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맞춤형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초소형 무선 통신 회로 등 다양한 분야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바이오메디컬, IoT, 인공지능 하드웨어 플랫폼의 혁신을 주도하고, 실용화 가능한 고성능 집적회로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시할 것입니다.
바이오메디컬 센서 및 신경 인터페이스 시스템
Integrated NanoSystems Laboratory는 바이오메디컬 센서 및 신경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에 있어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생체 신호(ExG, Biocurrent 등) 측정 및 신경 자극을 위한 초소형, 초저전력 집적회로와 시스템을 설계하며, 이를 통해 뇌-기계 인터페이스, 웨어러블 진단기기, 전자약 등 다양한 의료 및 헬스케어 응용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움직임 아티팩트와 전기 자극 간섭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게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회로 및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투명하고 유연한 신경 프로브, 다채널 신경 기록 시스템, 실시간 신경 회로 대체를 위한 하드웨어 기반 스파이킹 뉴럴 네트워크 등 혁신적인 하드웨어 플랫폼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경 신호 증폭, 저전력 신호 처리, 무선 통신, 데이터 변환 등 바이오 신호의 취득부터 분석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시스템 통합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 및 학회에 다수의 논문으로 발표되고 있으며, 관련 특허도 활발히 출원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최소침습/비침습 신경 인터페이스, 디지털 헬스케어, 맞춤형 뇌질환 치료 등 미래 의료기술의 핵심이 되는 바이오메디컬 센서 및 신경 인터페이스 시스템 연구를 더욱 심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것입니다.
무선 통신 및 IoT용 초저전력 회로 기술
본 연구실은 무선 통신 및 사물인터넷(IoT) 응용을 위한 초저전력 회로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저전력, 저비용, 소형화된 무선 송수신기, 주입 동기 링 발진기 기반 복조기, 고효율 RF-to-DC 변환기 등 다양한 무선 회로 솔루션을 연구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체 삽입형 센서,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IoT 환경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파수, 위상, 진폭 등 다양한 변조 신호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드 수신기와, 환경 변화에 강인한 회로 구조를 구현하여 실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 개발된 무선 회로들은 높은 에너지 효율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실제 산업 현장 및 의료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수준의 성능을 자랑합니다. 예를 들어, 인체 내부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식형 센서, 소형화된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스마트 공장용 무선 모니터링 디바이스 등 다양한 응용 사례에서 연구실의 기술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무선 시스템의 소형화, 안테나 및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의 집적화, 크리스탈 대체 기술 등 첨단 소자 및 회로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6G, 초연결 네트워크,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무선 시스템 등 차세대 무선 통신 및 IoT 분야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미래 지능형 사회의 핵심 인프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혁신적인 초저전력 무선 회로 기술을 선도할 것입니다.
1
Flexible multi-electrode neural probe using active-matrix design of transistor array
Jiwon Chae, Dongsu Kim, Goeun Pyo, Su Jin Heo, Joonghyun Kim, Kwonsik Shin, Byoung Ok Jun, Hongki Kang, Hyuk-Jun Kwon, Ji-Woong Choi, Junghyup Lee, Jae Eun Jang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2024
2
A 97dB-PSRR 178.4dB-FOMDR Calibration-Free VCO-ΔΣ ADC Using a PVT-Insensitive Frequency-Locked Differential Regulation Scheme for Multi-Channel ExG Acquisition
Sehwan Lee, Taeryoung Seol, Geunha Kim, Minyoung Song, Gain Kim, Jong-Hyeok Yoon, Arup K. George, Junghyup Lee
Proc. IEEE Symp. VLSI Circuits (VLSIC), 2024.06
3
Tunneling Transistor with a Stacked Floating Electrode for Current Saturation
Su Jin Heo, Jeong Hee Shin, Junghyup Lee, Jae Eun Jang
IEEE Electron Device Letters, 2024
1
정밀 역추정 기계학습 기반 최소침습/비침습 다중모드 무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신)한국연구재단(통합)
2024년 08월 ~ 2025년 07월
2
초실감 Cyber 오감 구현을 위한 가상촉감 한계 극복 기술 개발
(신)한국연구재단(통합)
2024년 04월 ~ 2024년 06월
3
(과기원공동연구프로젝트) 뇌질환 극복을 위한 최소침습 인공지능 전자뇌 개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