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족부 및 족관절 질환의 진단과 치료

이진우 연구실은 족부 및 족관절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족부는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는 중요한 부위로,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족관절의 골관절염, 족저근막염, 아킬레스건 파열,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 등은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연구실에서는 임상적 진단 방법의 고도화와 함께,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 등 첨단 영상의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족부 질환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수술적 및 비수술적 치료법의 임상적 유효성을 평가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최소침습 수술, 인공관절 치환술, 조직 재생을 위한 바이오소재 적용 등 혁신적인 치료법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족부 및 족관절 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치료 후 재활 및 예후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며, 족부족관절학 분야의 임상적·학문적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

중간엽 줄기세포 및 조직 재생 연구

본 연구실은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이용한 조직 재생 및 재생의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 연골, 지방 등 다양한 조직으로의 분화가 가능하며, 손상된 조직의 재생과 기능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줄기세포의 분화 조절 기전, 세포 노화 억제, 세포 이동 및 조직 내 정착 등 줄기세포 치료의 핵심 요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골관절염, 연골 손상, 만성 창상 등 난치성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를 위해 줄기세포 기반의 세포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바이오소재(하이드로겔, 콜라겐 매트릭스 등)와 성장인자, 마이크로RNA, 유전자 조작 기술을 접목하여 줄기세포의 치료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 모델 및 임상시험을 통해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고,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조직 재생 분야의 혁신을 이끌며, 환자 맞춤형 재생의학 치료법 개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다수의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줄기세포 및 조직 재생 분야의 선도적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3

당뇨병성 족부병변 및 만성창상 치료

이진우 연구실은 당뇨병성 족부병변 및 만성창상 치료에 대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족부궤양은 치유가 어렵고, 심할 경우 하지 절단까지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당뇨병성 족부병변의 위험인자 분석, 예후 예측 인자 발굴, 창상 치유 촉진을 위한 다양한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성장인자(예: EGF, bFGF), 콜라겐 드레싱,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기반 약물전달 시스템 등 첨단 바이오소재를 활용한 창상 치료제의 효과를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혈관 신생 촉진, 염증 조절, 세포 재생 유도 등 창상 치유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여,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로봇 보조 족부수술, 최소침습적 치료법, 인공지능 기반 예후 예측 모델 개발 등 혁신적 접근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당뇨병성 족부병변 환자의 예후 개선과 하지 절단률 감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 발표와 특허 출원을 통해 창상 치료 분야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