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건 연구실
의예과 김형건
김형건 연구실은 중추신경계의 약리학적 기전과 신경질환의 병태생리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의예과 소속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신경전달물질의 분포와 기능, 신경세포의 구조적·기능적 변화, 그리고 신경계 질환의 치료 타깃 발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만성 통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임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LRRK2 유전자 변이 마우스, MPTP 유발 파킨슨병 모델, RF-EMF 노출 신경손상 모델 등 다양한 동물모델을 구축하여 신경질환의 원인 규명과 치료제 효능 평가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경전달물질 기반의 뇌 지도 작성, 신경세포 내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 분석, 행동학적 평가 등 첨단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연구의 정밀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신경계 질환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을 목표로, 신경전달물질 및 바이오마커 발굴, 신약 및 기능성식품의 전임상 평가, 약물동태 및 약물유전체학 연구 등 다양한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뿐만 아니라, 관련 특허와 논문, 정부 및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성과로는 신경전달물질 기반 뇌 지도 작성 특허, 파킨슨병 동물모델 및 치료제 평가 방법 특허, 다양한 신경질환 관련 논문 및 저서 출판 등이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학회에서의 활발한 활동과 수상 경력, 그리고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신경약리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김형건 연구실은 앞으로도 신경계 질환의 근본적 이해와 혁신적 치료법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국내외 연구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중추신경약리학 연구
김형건 연구실은 중추신경계의 약리학적 기전을 심도 있게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신경전달물질의 분포와 기능, 그리고 이들이 신경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동물모델과 세포실험을 통해 분석합니다. 특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 타깃 발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LRRK2 유전자 변이 마우스를 활용한 파킨슨병 연구, 신경전달물질 기반의 뇌 지도 작성, 그리고 신경계 내 염증 반응과 신경세포 사멸 기전 규명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계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관련 특허와 논문을 통해 그 성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신경약리학 분야의 최신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약물의 중추신경계 내 작용 기전, 약물동태 및 약물유전체학적 특성까지 포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추신경계 질환의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임상 신경질환 모델 및 치료제 평가
연구실은 다양한 신경질환 동물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신약 및 기능성식품의 전임상 평가에 탁월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당뇨병성 신경병증, 만성 통증 등 중추신경계 관련 질환의 병태생리 연구와 치료제 후보물질의 효능 검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LRRK2 유전자 변이 마우스, MPTP 유발 파킨슨병 모델, RF-EMF 노출에 의한 신경손상 모델 등 다양한 동물모델을 구축하여, 신경세포의 구조적·기능적 변화, 신경전달물질의 변화, 행동학적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수행합니다. 또한, 신경전달물질 지도 작성, 신경세포 내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 분석 등 첨단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치료제의 작용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질환 치료제의 개발뿐만 아니라, 신경계 질환의 조기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 약물의 안전성 및 효능 평가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수의 특허와 논문, 그리고 정부 및 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국내외 신경질환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1
Photobiomodulation improves the synapses and cognitive function and ameliorates epileptic seizure by inhibiting downregulation of Nlgn3
김형건, 홍남규, 김희정, 강근수, 박지온, 문세영, 강봉훈, 정필상, 이민영, 안진철
Cell and Bioscience, 202301
2
Exposure to long-term evolution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decreases neuroblastoma cell proliferation via Akt/mTOR-mediated cellular senescence
김형건, 김주환, 전상봉, 김남, 최형도, 이재헌, 배준상, 김규봉, 김학림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PART A-CURRENT ISSUES, 202107
3
Exposure to RF-EMF Alters Postsynaptic Structure and Hinders Neurite Outgrowth in Developing Hippocampal Neurons of Early Postnatal Mice
김형건, 김주환, 박혜란, 김학림, 정경훈, 황영란, 김희정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105
1
뇌 신경전달물질 분포 뇌지도를 활용한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 효과 평가법 개발
2
만성 통증에서 신경전달물질과 사이토카인의 역할과 상호작용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