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SEismic Engineering & Structural Dynamics Lab

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 한상환 교수

SEismic Engineering & Structural Dynamics Lab(내진진동연구실)은 건축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와 내진설계, 그리고 구조동역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지진, 풍하중 등 극한 하중에 노출된 다양한 구조물(철근콘크리트, 강구조, 복합구조 등)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험적·해석적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제 지진 피해 사례 분석, 실물 실험, 첨단 수치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취약점과 붕괴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진보강 및 설계 기준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성능기반 내진설계(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와 신뢰성 기반 구조성능 평가 기법을 개발하여, 기존 내진설계 기준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조물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비선형 해석기법(정적해석, 증분동적해석, 유한요소해석 등)을 활용하여 구조물의 실제 거동과 손상 누적, 붕괴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며, 고강도강재, HPFRCC 등 신소재를 적용한 내진접합부 및 보강 시스템의 성능 실험과 해석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확률론적 해석, 취약도 함수 개발, 붕괴취약도 곡선 작성 등 첨단 통계적 기법을 도입하여 구조물의 불확실성을 체계적으로 반영한 신뢰성 기반 내진성능 평가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붕괴확률, 기대손실, 생애주기 위험도 등 구조물의 내진안전성을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내진보강 효과와 보강량 산정, 기존 건물의 내진적정성 평가 등 실무에 적용 가능한 평가 및 설계 소프트웨어도 자체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술논문, 기술지침, 특허, 실무용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어, 국가적 재난 대응력 강화와 사회적 안전망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지자체·공공기관·산업체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실제 건축물 및 인프라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내진설계 기준(KDS, ASCE, AISC 등)과의 연계성 강화, 지역별 재해도 분석, 내진보강 신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SEismic Engineering & Structural Dynamics Lab은 첨단 내진공학 연구와 실무 적용을 선도하며, 구조공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사회적 안전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지속적인 혁신과 도전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한 사회 구현에 앞장설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