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은미 연구실
의과대학 천은미
천은미 연구실은 호흡기 내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호흡기 질환의 임상 연구와 감염병, 백신 관련 면역 반응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천식, 폐렴, 결핵 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 위험인자, 예후 인자 분석을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국가 건강조사 및 보험청구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흡연 및 전자담배 사용이 호흡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전자담배와 급성 폐렴의 연관성, 니코틴 의존도, 스트레스 취약성, 금연 전략의 효과성 평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국민의 흡연 예방 및 금연 정책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호흡기 질환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폐재활, 영양 및 비타민 섭취, 수술 전후 폐기능 변화 등 환자 중심의 임상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COVID-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신경학적, 자가면역, 정신건강 이상 반응에 대한 대규모 인구 기반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군과 미접종군 간의 이상 반응 발생률 비교, 위험 요인 분석, 예측 인자 도출 등을 통해 백신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민의 백신 신뢰도 제고와 안전한 접종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감염병 이후 후유증(롱코비드) 및 예후 인자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항바이러스제 사용, 비타민 D 수치, 호흡곤란 등의 임상적 요인이 증상 지속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감염병 환자의 장기적 건강 관리 및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천은미 연구실은 이처럼 임상 현장과 밀접하게 연계된 실용적 연구를 통해, 호흡기 질환 및 감염병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높은 학술적 위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민 건강 증진과 의료 정책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Secondhand Smoke Exposure
Smoking Cessati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호흡기 질환의 임상 연구 및 관리
천은미 연구실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천식, 폐렴, 결핵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 전략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대규모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 위험인자, 예후 인자 등을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PD 환자에서의 골다공증 유병률, 우울 및 불안 심리 평가, 폐기능 저하와 심혈관 질환의 연관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흡연 및 전자담배 사용이 호흡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전자담배 사용과 급성 폐렴, 니코틴 의존도, 스트레스 취약성, 그리고 금연 전략의 효과성 평가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과 호흡기 질환 예방 정책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호흡기 질환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중재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예를 들어, 폐재활 치료의 효과, 영양 및 비타민 섭취와 폐질환의 상관관계, 수술 전후 폐기능 변화 분석 등 환자 중심의 임상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치료 성과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감염병 및 백신 관련 면역 이상 반응 연구
최근 천은미 연구실은 COVID-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면역 이상 반응에 대한 대규모 인구 기반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COVID-19 백신 접종 후 신경학적 이상 반응, 자가면역 질환(예: 백반증), 정신건강 이상 반응(우울, 불안, 수면장애 등) 등 다양한 부작용의 발생률과 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백신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의 백신 신뢰도 제고와 안전한 접종 정책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백신 접종군과 미접종군 간의 이상 반응 발생률을 비교하고, 연령, 성별, 기저질환 등 다양한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백신 접종 후 안면신경마비, 삼차신경통, 자가면역성 백반증 등 특정 질환의 발생 위험이 증가함을 밝혔으며, 이와 관련된 예측 인자도 도출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감염병 이후 후유증(롱코비드) 및 예후 인자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항바이러스제 사용, 비타민 D 수치, 호흡곤란 등의 임상적 요인이 증상 지속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감염병 환자의 장기적 건강 관리 및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Broad=spectrum adverse events of special interest based on immune response following COVID -19 vaccination:a large scale population based cohort study
천은미, 최명근, 김민호, 서지현, 김홍진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503
2
Psychiatric adverse events following COVID-19 vaccination: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Seoul, South Korea
천은미, 최명근, 김홍진, 김민호
MOLECULAR PSYCHIATRY, 202411
3
Association of Coronavirus Disease 2019 Vaccination with Facial-Related Neurological Disorders: A Nationwide Retrospective Cohort Study
천은미, 김민호, 조동상, 김영구
JOURNAL OF PERSONALIZED MEDICINE, 202407
2
KOICA 사업의 성과관리 개선을 위한 사회조사방법론 적용방안 연구
3
이화 의학 글로발 챌린지 사업단(전문학위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