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CISL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유남열 교수

CISL(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cience Laboratory)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소속으로, 신호 처리, 정보 이론, 통신 시스템, 정보 보안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압축 센싱(Compressed Sensing) 이론의 심층적 탐구와 이를 기반으로 한 실용적 응용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신호의 희소성과 측정 행렬의 설계를 통해, 기존 방식보다 훨씬 적은 샘플로도 신호를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는 혁신적 신호 처리 기법을 연구하며, 이미지 처리, 무선 통신, 센서 네트워크, 레이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압축 센싱 기반 암호 시스템(CS-based Cryptosystem) 및 정보 보안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희소화 측정 행렬, 부분 유니터리 행렬, 순환 행렬 등 다양한 구조의 측정 행렬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효율적 암호화와 복호화, 그리고 높은 보안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새로운 암호 시스템을 제안합니다. 정보 이론적 보안성, 계산 복잡도, 선택 평문 공격 및 암호문만 공격에 대한 저항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적 분석과 실용적 알고리즘 개발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신호 및 코드북 설계 분야에서도 본 연구실은 비직교 시퀀스, 의사난수 신호, 저상관 시퀀스 등 다양한 신호 설계 이론과 실제 응용을 연구합니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간 간섭 최소화, 다중 접속 환경에서의 효율적 자원 할당, 데이터 스크램블링, 사용자 식별, 스펙트럼 성형 등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신호 및 코드북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조합론적 개념과 유전자 알고리즘 등 최신 수학적 도구를 활용한 신호 설계 방법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사물인터넷(IoT), 대규모 무선 연결(MTC), 스마트 그리드,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MHN) 등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실질적 응용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데이터의 효율적 전송과 강력한 보안을 동시에 달성하는 혁신적 정보 보호 기술, 그리고 대규모 연결 환경에서의 신호 처리 및 통신 시스템 설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CISL은 이론적 연구와 실용적 응용을 동시에 추구하며, 국내외 유수의 학술지 및 국제 학회에서 활발히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특허와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산업계와의 연계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을 선도하며, 미래 지능 정보 사회를 위한 핵심 원천 기술 개발에 매진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