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Polymer Thin Film Material Lab

경북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고분자공학과

박진영 교수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Micro-Contact Printing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V3_minor

Polymer Thin Film Material Lab

고분자공학과 박진영

고분자공학과의 Polymer Thin Film Material Lab은 최첨단 고분자 박막 소재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이 연구실은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RP)과 전기중합을 통해 고분자 사슬을 다양한 방향으로 성장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분자 각인 폴리머와 마이크로 접촉 인쇄를 활용한 나노구조체 제작 및 응용 연구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고분자 박막 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센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성과로는 β-락토글로불린 검출을 위한 전극 설계, 항간질제 약물의 혈장 내 정량화, 인플루엔자 H5N1 바이러스 단백질의 민감한 검출 등이 있습니다. 이 연구실은 다양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다수의 학회 발표를 통해 연구 결과를 공유하며, 고분자 박막 소재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Micro-Contact Printing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분자적으로 인쇄된 고분자 기반 화학 센서 개발
분자적으로 인쇄된 고분자 기반 화학 센서는 특정 분자를 선택적으로 인식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측정 및 확장 게이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반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다양한 질병 마커 및 바이오분자 탐지에 활용될 수 있어, 의료 진단 및 환경 모니터링 분야에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트립신, 멜리틴, 인플루엔자 H5N1 바이러스 단백질 등의 탐지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유기 태양전지용 구조화된 이중층 헤테로 접합 개발
구조화된 이중층 헤테로 접합 유기 태양전지는 고분자 박막 소재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입니다. 용매 보조 연성 나노인쇄 리소그래피(Solvent-Assisted Soft Nanoimprint Lithography) 기술을 활용하여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태양전지의 전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고, 전반적인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1
Designing Novel Affinity Peptide and Tannic acid-Polyethyleneimine-Modified Electrode for β-Lactoglobulin Detection in Milk
Manju Venkatesan, Jae Hwan Shin, Jinyoung Park, Jong Pil Park
Submitted, 2023
2
Quantitation of antiepileptic drug in plasma by extended-gate field-effect transistor–based chemosensors featuring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coated zinc oxide nanostructures
Jin Chul Yang, Seok Jin Lim, Chae Hwan Cho, Deepshikha Hazarika, Jong Pil Park, Jinyoung Park
Submitted, 2023
3
Determination of Ovalbumin Sensing Response of Protein-Imprinted Bilayered Hydrogel Strips via Measurement of Mechanically Driven Bending Angles Based on Swelling-Induced Deformation
Deepshikha Hazarika, Jin Chul Yang, Seok Jin Lim, Soo-Young Park, Jinyoung Park
Microchimica Acta,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