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이경학 연구실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이경학 교수

이경학 연구실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이경학

이경학 연구실은 산림환경시스템학과를 기반으로 산림의 탄소 평가, 기후변화 대응, 그리고 첨단 측정기술을 활용한 산림생태계 모니터링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산림이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하는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국가 및 지역 단위의 산림 탄소 인벤토리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산림의 바이오매스, 토양 유기탄소, 그리고 다양한 산림 유형과 생육 단계별 탄소 축적량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다년생 과수 및 과원의 탄소 축적량 평가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업과 산림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탄소 흐름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또한, 국내외 다양한 산림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량을 산정하는 방법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지상라이다, 드론 등 첨단 측정기술을 활용하여 산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의 전통적인 산림조사 방법에 비해 더 넓은 지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조건에서의 산림 구조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다년생 과수의 부피 및 수관구조 측정에 드론과 라이다를 접목하여, 산림 및 농업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경학 연구실은 산림생태계서비스 공급량 지도화, 산림의 생태적 관리, 그리고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델파이 및 토지이용점수화 접근법과 결합하여 지역별 산림생태계서비스의 공급량을 정량화하고, 이를 지도화함으로써 정책 결정자와 현장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산림과학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산림환경시스템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첨단기술을 접목한 산림 모니터링 연구를 통해 산림생태계의 건강성과 기능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미래 산림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산림 탄소 평가 및 기후변화 대응
산림 탄소 평가 및 기후변화 대응 연구는 산림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본 연구실은 산림의 바이오매스와 토양 유기탄소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 산림이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산림 유형과 수종, 그리고 산림의 생육 단계별로 탄소 축적량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 및 지역 단위의 산림 탄소 인벤토리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년생 과수 및 과원의 탄소 축적량 평가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업과 산림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탄소 흐름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또한, 국내외 다양한 산림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량을 산정하는 방법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후위기 시대에 산림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 수립과 실행에 중요한 과학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산림 탄소경영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국가 및 국제사회에서 요구하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첨단 측정기술을 활용한 산림생태계 모니터링
본 연구실은 지상라이다, 드론 등 첨단 측정기술을 활용하여 산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의 전통적인 산림조사 방법에 비해 더 넓은 지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조건에서의 산림 구조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다년생 과수(예: 감귤나무)의 부피 및 수관구조 측정에 드론과 라이다를 접목하여, 산림 및 농업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첨단 측정기술을 활용한 연구는 산림생태계서비스 공급량 지도화, 산림의 생태적 관리, 그리고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전문가 델파이 및 토지이용점수화 접근법과 결합하여 지역별 산림생태계서비스의 공급량을 정량화하고, 이를 지도화함으로써 정책 결정자와 현장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산림과학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산림환경시스템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첨단기술을 접목한 산림 모니터링 연구를 통해 산림생태계의 건강성과 기능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미래 산림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1
Development of Activity Data for Greenhouse Gas Inventory in Settlements in South Korea
이경학
Land, 2024
2
Abiotic and stand age-induced changes in tree diversity and size inequality regulate aboveground biomass and soil organic carbon stock in temperate forests of South Korea
이경학
CATENA, 2024
3
Factors and Paths Affecting Payment for Forest Ecosystem Service: Evidence from Voluntary Forest Carbon Market in South Korea
Jo, JH (Jo, Jang-Hwan), Roh, T (Roh, Taewoo), Hwang, J (Hwang, Jongmin), Lee, KH (Lee, Kyeong-hak), Lee, C (Lee, Changbae)
SUSTAINABILITY, 2020
1
다년생 과수 및 과원의 탄소 축적량 평가 연구 (1/3)
농촌진흥청
2023년 ~ 2023년 12월
2
LULUCF 농경지부문 바이오매스 산정을 위한 인벤토리 구축방안 조사
국립농업과학원
2021년 08월 ~ 2021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