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R Lab
신소재시스템공학전공 김남형
BEAR Lab(차세대 에너지/배터리 소재 연구실)은 리튬 이온 배터리 및 차세대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실리콘, 실리콘-탄소 복합체, 합금계 음극재 등 기존 흑연 음극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소재 설계와 대량 합성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에너지밀도, 장수명, 고안전성 배터리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와 같은 차세대 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전극 소재 및 고체 전해질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액체 전해질 기반 배터리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고,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극-전해질 계면 안정화, 혼합 이온/전자 전도층(MIEC) 설계, 합금계 음극재의 상전이 및 열화 메커니즘 분석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듐 이온 배터리 등 비리튬계 차세대 배터리 소재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저비용·고에너지 소듐 이온 배터리의 양극 및 음극 소재 개발, 바이오매스 기반 하드카본 합성, 프러시안 블루/화이트 유사체 양극 소재 개발 등 다양한 소재 연구를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 대규모 전력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소재의 미세구조 제어, 계면 안정화, 전극 내 응력 완화 등 다양한 소재 공학적 접근을 통해 배터리의 성능과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첨단 분석 장비와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소재의 반응 특성과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실제 배터리 셀 및 팩 단위에서의 성능 검증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국내외 유수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BEAR Lab은 미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혁신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차세대 배터리 소재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All-solid-state Batteries
Silicon-Based Anodes
Si-based Anodes
차세대 리튬 이온 및 리튬 배터리 음극재 개발
차세대 리튬 이온 및 리튬 배터리 음극재 개발은 기존의 흑연 음극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을 갖는 배터리 구현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실리콘, 실리콘-탄소 복합체, 그리고 다양한 합금계 음극재를 활용하여 리튬 이온의 저장 용량을 극대화하는 소재 설계 및 합성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상증착법(CVD)과 같은 첨단 합성법을 통해 고성능 실리콘 기반 음극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정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음극재의 미세구조 제어, 계면 안정화, 전극 내 응력 완화 등 다양한 소재 공학적 접근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나노입자와 탄소 매트릭스를 결합하여 충방전 시 발생하는 부피 팽창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전극의 기계적 안정성과 전기화학적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전략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용화 수준의 대형 셀에 적용 가능한 음극재 설계 및 제조 기술을 실현하고 있으며, 실제 배터리 팩 단위에서의 성능 검증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세대 음극재 개발은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배터리의 성능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소재의 근본적인 한계 극복과 더불어,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기술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어,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및 고성능 전해질 개발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액체 전해질 기반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고,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장수명을 실현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인 전극 소재와 고체 전해질의 계면 안정화, 혼합 이온/전자 전도층(MIEC) 설계, 그리고 합금계 음극재의 상전이 및 열화 메커니즘 분석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속 리튬 음극과 고체 전해질 사이의 계면 반응을 제어하기 위한 소재 설계와, 펠릿형 전고체 배터리 전극의 구조 최적화, 그리고 고성능 전해질의 합성 및 평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 수명, 안전성 등 핵심 성능을 극대화하고, 실용화에 필요한 대면적 셀 제조 및 공정 기술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성능 전해질 개발을 위해 다양한 무기 및 고분자 고체 전해질 소재를 탐색하고, 이들의 이온 전도도, 화학적 안정성, 전극과의 계면 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에 필수적인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소듐 이온 및 비리튬계 차세대 배터리 소재 연구
리튬 자원의 한계와 비용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소듐 이온 배터리와 같은 비리튬계 차세대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저비용·고에너지 소듐 이온 배터리의 양극 및 음극 소재 개발, 바이오매스 기반 구형 하드카본 합성, 프러시안 블루/화이트 유사체 양극 소재 개발 등 다양한 소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듐 이온 배터리의 전극 소재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는 다른 이온 반응 메커니즘과 구조적 특성을 가지므로, 소재의 결정 구조, 이온 확산 경로, 전해질과의 상호작용 등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본 연구실은 첨단 분석 장비와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소재의 반응 특성과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수명·고효율 배터리 소재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전해질 설계, 금속 리튬 호스트 소재, 리튬 프리 음극 설계 등 다양한 차세대 배터리 시스템의 핵심 소재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저장장치, 대규모 전력망, 친환경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1
Adv. Energy Mat. 7, 1700071 (2017)
Adv. Energy Mat., 1970
2
Nature energy 6, 1164 (2021)
Nature energy, 1970
3
Writing a paper
Prof. Whiteside's group
, 1987
1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소재 개발 및 분석을 위한 대기비노출 실시간 전기화학/가열 분석용 광학현미경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