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국립대학교 화학과-분석화학전공 최명룡 교수
최명룡 연구실은 펄스 레이저 분광학 및 나노소재 합성을 기반으로 한 첨단 화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펄스 레이저 어블레이션, 분광학, 이론 계산을 융합하여, 다양한 금속 및 비금속 나노소재의 합성, 구조 제어, 표면 개질, 그리고 이들의 에너지 및 환경 분야 응용을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외부 환원제나 계면활성제 없이도 고순도, 고기능성 나노소재를 신속하게 합성할 수 있는 친환경적 합성법을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수소 생산, 이차전지, 슈퍼커패시터, 연료전지 등 차세대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촉매 및 전극 소재 개발입니다. 전기화학적 수전해(물분해),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 기반 화합물의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전환, 질산/아질산/질소산화물의 암모니아 전환 등 다양한 전기화학 반응에서 우수한 효율과 내구성을 갖는 촉매를 설계하고, 실시간 분광학 및 이론 계산을 통해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 정화 분야에서는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 중금속, 질소/인 화합물 등 다양한 오염원의 제거 및 자원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펄스 레이저 기반 촉매를 활용한 유기염소계 화합물의 탈염소화, 중금속 이온의 선택적 검출 및 제거, 폐수 내 질산/아질산의 암모니아 전환 등 실질적인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나노소재 기반의 고감도 센서, 분광학적 분석법, 실시간(in situ/operando) 반응 모니터링 기술 등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펄스 레이저 분광학, 전기화학, 재료화학, 환경화학, 이론화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융합하여, 기초과학적 원리 탐구와 실용적 응용기술 개발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소재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연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다수의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특허, 기술이전, 산학협력, 대형 국책과제 수행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미래 인재 양성 및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혁신적인 나노소재 합성 및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에너지·환경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앞장설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