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KAIST ADEC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공학대학원-전기및전자공학부 이정용 교수

KAIST ADEC 연구실은 에너지 변환을 위한 첨단 소자 개발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유기,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등 다양한 신소재를 기반으로 차세대 태양전지, 광검출기,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등 광전자 소자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효율, 유연성, 신축성, 투명성 등 미래 전자기기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소재 및 소자 구조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유기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양자점 태양전지 등 다양한 소자의 효율 향상과 대면적 제조 공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적외선 광검출기 및 포토디텍터 개발을 통해 나이트비전, 바이오메디컬 이미징,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등 첨단 응용 분야에 필요한 고성능 광센서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신축성 및 투명 전자소자 분야에서는 웨어러블, 플렉서블 기기 적용을 위한 신축성 전극, 투명 전도성 전극, 신축성 광전자소자 등 다양한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금속 나노와이어, 그래핀, CNT, PEDOT:PSS 등 신소재를 활용한 투명 전극 연구와, 반복적인 변형에도 높은 성능을 유지하는 신축성 전자소자 구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반도체 및 광전자 소자 응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유기 반도체 등 신소재를 활용한 고성능 소자 개발과, 박막형 액체금속 전극, 나노네트워크 기반 전극 등 혁신적인 구조 설계를 통해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차세대 디스플레이, 바이오센서, 이미지 센서 등 미래 산업을 선도할 핵심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KAIST ADEC 연구실은 소재 합성, 소자 구조 설계, 대면적 공정, 응용 기술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통해 에너지 변환 및 광전자 소자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과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에너지 및 전자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