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동물분류 및 계통학 연구
본 연구실은 동물분류와 계통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동물군, 특히 섬모충류와 원생생물을 중심으로 새로운 종의 발굴, 형태학적 특성 분석, 그리고 분자계통학적 접근을 통해 동물의 다양성과 진화적 관계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현미경 관찰, 프로타골 염색,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등 다양한 첨단 기법을 활용하여 미기록 종의 형태와 유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다양한 섬모충류와 원생생물의 형태적, 분자적 특성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Plagiopylea, Armophorea, Heterotrichea 등 다양한 계통군의 신종 및 미기록종을 발굴하고, 이들의 SSU rRNA, ITS, CO1 등 다양한 유전자 마커를 이용해 계통수와 진화적 패턴을 재구성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 생물다양성 증진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동물 분류체계의 정립과 진화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동물분류 및 계통학 연구는 생물종의 보전, 생태계 관리,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도 활용됩니다. 또한, 국가생물종목록 구축, DNA 바코드 데이터베이스(KBOL) 개발 등 국가적 생물자원 관리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미래에는 미지의 생물종 탐색과 글로벌 생물다양성 연구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통합 분류학 및 분자계통학
연구실은 형태학적 분석과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융합한 통합 분류학(integrative taxonomy)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형태학적 동정에 더해, SSU rRNA, ITS, CO1 등 다양한 유전자 마커를 활용하여 종의 경계와 계통적 위치를 명확히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유전적으로는 구분되는 '크립틱 스피시즈(cryptic species)'를 밝혀내고, 기존 분류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ingle-cell transcriptomics), 다유전자 계통수 구축, 베이지안 공진화 분석 등 최신 분자계통학적 방법론을 적극 도입하여 섬모충류, 원생생물 등 미세생물의 진화적 다양성과 종 분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견된 새로운 유전자, 진화적 형질, 환경 적응 특성 등은 미생물 진화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합 분류학 및 분자계통학 연구는 학문적 기초연구를 넘어, 기생성 섬모충류의 감염 진단가이드 개발, 환경 DNA(eDNA) 기반 생태계 모니터링, 생물자원 보전 등 다양한 실용적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첨단 분자생물학 기술과 전통 분류학의 융합을 통해, 생명과학의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고, 국가 및 국제적 생물다양성 연구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