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인공생체분자합성연구실

부산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화학과

고민섭 교수

Genetic Code Expansion

Bispecific Small Molecule Engineering

Modulat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V3_minor

인공생체분자합성연구실

화학과 고민섭

인공생체분자합성연구실은 화학과에 속해 있으며, 이중특이성 소분자 공학,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조절, 유전 암호 확장, 번역 시스템, 나노바디 공학 등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연구실은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며, 특히 2024년에는 STING 단백질의 생체 내 및 고정 조직에서의 생체직교 이미징 프로브, 암 관련 섬유아세포 매개 폐암 세포 이동에서의 Echinochrome A의 조절 역할, 세포외 소포체의 단백질 및 RNA 프로파일링을 위한 화학 생물학 도구의 최근 발전 등을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새로운 화합물 및 형광 화합물의 합성 방법과 용도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연구실의 높은 연구력을 입증하며, 다양한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R&D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Genetic Code Expansion
Bispecific Small Molecule Engineering
Modulat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생체 내 STING 단백질의 바이오이미징 프로브 개발
생체 내 STING 단백질의 실시간 이미징을 위한 바이오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하는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화학적 생물학 도구를 활용하여 생체 내에서 STING 단백질의 위치와 기능을 시각화함으로써, 면역 반응과 관련된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를 통해 암 및 자가면역질환 등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비정형 아미노산을 이용한 형광 이미징 기술
비정형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형광 이미징 기술을 발전시키는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유전자 코드에 새로운 화학적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세포 내 단백질 및 RNA의 위치와 상호작용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를 통해 세포 내 분자의 동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1
Bioorthogonal imaging probe for STING protein in live cell and fixed tissue
Lee, H., Park, J.- Y., Yoon, J., Park, W., Kang, M., Lee, J., Park, G., Koh, M., Kim, H., Sohn, C. H., Lee, S., Kim, E.
Sens. Actuators B Chem., 2024
2
Regulatory role of Echinochrome A in cancer-associated fibroblast-mediated lung cancer cell migration
Eum, D. -Y., Lee, C., Tran, C. S., Lee, J., Park, S. Y., Jeong, M.- S., Jin, Y., Shim, J. W., Lee, S. R., Koh, M., Vasileva, E. A., Mishchemko, N. P., Park, S.- J., Choi, S. H., Choi, Y. J., Yun, H., Heo, K.
Toxicol. Res., 2024
3
Recent advances in chemical biology tools for protein and RNA profiling of extracellular vesicles
Lim, W., Lee, S., Koh, M., Jo, A., Park, J.
RSC Chem. Biol.,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