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Theory and Technologies group
기계공학과 이병찬
Materials Theory and Technologies group은 첨단 전산역학 및 원자 단위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미래 핵심 소재의 이론적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항공우주, 핵융합 에너지, 반도체 공정 등 극한 환경에서 요구되는 고기능성 소재의 물성 예측, 신소재 설계, 그리고 미세구조 변화 해석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텅스텐, 니켈, 티타늄 등 고융점 금속 및 합금의 중성자 조사 손상, 플라즈마 대면재의 내구성, 그리고 다성분 합금의 결함 거동을 분자동역학, 제일원리 계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전산 기법을 통해 심도 있게 연구합니다. 대규모 병렬 컴퓨팅을 활용한 가상 시편 생성 및 시뮬레이션 플랫폼 개발을 통해, 실험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극한 조건에서의 소재 거동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리콘, 실리신, 나노와이어, 비정질 합금 등 다양한 나노 및 신소재의 기계적 특성 해석과 새로운 경험 포텐셜 모델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탄성, 소성, 파괴, 상변태 등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원자적 수준에서 규명하며, 신뢰성 높은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국가 연구과제와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하며, 핵융합로용 대면재, 우주발사체용 내열합금, 차세대 원자로 소재 등 미래 에너지 및 항공우주 분야의 전략적 소재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실험적 검증과 연계된 전산모사 결과는 소재 설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Materials Theory and Technologies group은 이론과 실험, 전산과 실제 응용을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미래 산업을 선도할 혁신적 소재 개발과 과학적 발견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Molecular Dynamics
Shape-Memory Alloys
Shape Memory Alloy
전산역학 기반 핵융합로 대면재 및 극한 환경 소재 연구
본 연구실은 전산역학을 기반으로 핵융합로 대면재 및 극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첨단 소재의 거동을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특히, 텅스텐과 같은 고융점 금속의 중성자 조사 손상, 플라즈마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미세구조 변화에 대한 원자 단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소재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예측합니다. 이를 위해 분자동역학, 제일원리 계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전산 기법을 활용하여, 실험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극한 조건에서의 물성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전자-포논 결합, 결정립 경계, 자유 표면 효과 등 미세구조적 요인이 조사 손상 및 결함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텅스텐 합금의 다성분화가 결함 이동성을 저감시키고, 잔류 손상을 증가시켜 핵융합로 환경에서의 소재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을 밝혔습니다. 또한, 대규모 병렬 컴퓨팅을 활용한 가상 시편 생성 및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하여,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팅 시대에 부합하는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차세대 원자로, 우주 발사체 등 미래 에너지 및 항공우주 분야의 핵심 소재 개발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실험적 검증과 연계된 전산모사 결과는 소재 설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신뢰성 높은 예측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국가 전략 기술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나노 및 원자 단위 기계적 특성 해석과 신소재 설계
연구실은 실리콘, 니켈, 티타늄, 니켈-티타늄 합금, 실리신 등 다양한 나노구조체 및 신소재의 기계적 특성을 원자 단위에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소재 설계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제일원리 밀도범함수 이론(DFT), 수정 임베디드 아톰 방법(MEAM), Tersoff 포텐셜 등 다양한 경험적 및 이론적 포텐셜 모델을 개발·적용하여, 나노와이어, 박막, 벌크 소재의 탄성, 소성, 파괴 거동을 정밀하게 예측합니다.
특히, 나노와이어의 크기 의존적 탄성 특성, 표면 상태 변화에 따른 기계적 거동 불변성, 비정질 합금의 강화 메커니즘, 형상기억합금의 상변태 및 초탄성 현상 등 다양한 현상을 원자적 관점에서 규명하였습니다. 또한, 실리콘 및 실리신 등 2차원 소재의 기계적 거동을 실험 및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신뢰성 높은 포텐셜 파라미터 최적화 및 모델의 전이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반도체 공정, 마이크로/나노 전자기기, 바이오 소재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신소재의 설계와 최적화에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더불어, 다양한 합금 및 복합 소재의 미세구조-물성 상관관계 해석을 통해, 미래 산업을 선도할 혁신적 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1
PolyPal: A parallel microscale virtual specimen generator
신영각, VICHHIKAMOUL, Kang, Keonwook, 이병찬
COMPUTER PHYSICS COMMUNICATIONS, 202503
2
Temperature-dependent electron-phonon coupling changes the damage cascades in neutron-irradiation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in W
신영각, Kang, Keonwook, 이병찬
NUCLEAR FUSION, 202408
3
Reduced interstitial mobility through multicomponent alloying in bcc W
신영각, Kang, Keonwook, 이병찬
Fusion Engineering and Design, 202111
1
핵융합로 플라즈마 대면재 성능 평가를 위한 전산모사 테스트베드 개발(1/2)
2
중수로 압력관 가동 적합성 평가 및 출력 감발 평가체계 개발(1/2)
3
[중견연구] 분자동역학을 이용한 텅스텐 합금의 극한 물성 개선 연구(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