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Interactive Technology & Methodology

경희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오승재 교수

Augmented Reality

Human-Computer Interaction

Vibrotactile Feedback

Interactive Technology & Methodology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오승재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 & 방법론 연구실은 경희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과에 소속된 융합적 연구 그룹으로,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차세대 디지털 플랫폼(AR, VR, Digital Twin, Metaverse)에서의 몰입형 인터페이스, 혁신적인 입출력 장치, 그리고 촉각 피드백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혁신적인 입출력 인터페이스 설계, 햅틱스 및 메타물질 기반 촉각 피드백, 센서 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상호작용 기술 등입니다. 사용자의 행동과 의도를 정밀하게 인식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시스템에 반영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럽고 몰입감 있는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특히, 3D 프린팅, 웨어러블 센서, 시선 추적, 진동 기반 센싱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통합하여, 미래형 인터랙티브 시스템의 핵심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햅틱스 분야에서는 메타물질을 활용한 새로운 촉각 피드백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메타물질 구조체를 3D 프린팅으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접촉하는 표면의 촉각 특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상현실, 증강현실, 게임, 원격 로보틱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실제와 같은 감각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센서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지능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내외 연구 프로젝트와 산학협력을 통해, 이론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제 적용 가능한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다수의 특허 출원, 국제 학술지 논문 발표, 국내외 학회 수상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미래 디지털 사회에서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실은 더욱 진보된 인터랙티브 기술 개발을 통해, 사용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어갈 것입니다. 인간 중심의 인터페이스 설계와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Augmented Reality
Human-Computer Interaction
Vibrotactile Feedback
혁신적인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설계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 & 방법론 연구실은 인간과 컴퓨터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실현하기 위한 혁신적인 입출력 인터페이스 설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사용자의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입력 방식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더욱 몰입감 있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예를 들어, 손 제스처, 터치, 시선 추적 등 다양한 입력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시스템에 반영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등 차세대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인터페이스 설계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에서는 기존의 마우스와 키보드 입력을 넘어, 공간적 제스처, 웨어러블 센서, 햅틱 피드백 등 다양한 입출력 장치가 요구됩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다양한 장치와 기술을 통합하여, 사용자가 더욱 몰입감 있게 디지털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게임, 교육, 엔터테인먼트, 산업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경험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 스마트워치,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 설계와, 사용자의 행동 및 맥락을 고려한 상호작용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햅틱스 및 메타물질 기반 차세대 촉각 피드백 기술
본 연구실은 햅틱스(Haptics) 기술, 즉 촉각 피드백을 활용한 상호작용 시스템 개발에 있어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햅틱스는 사용자가 가상 환경이나 디지털 기기와 상호작용할 때 실제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웨어러블 햅틱 디바이스, 진동 기반 센싱, 피부 촉감 인식 등 다양한 연구 주제를 포함합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그에 맞는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VR/AR 환경에서의 몰입감과 현실감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의 햅틱 피드백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메타물질은 기존 물질과는 다른 인위적으로 설계된 구조적 특성을 가지며, 이를 활용해 촉각 자극의 전달 방식과 감각 특성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D 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메타물질 구조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접촉하는 표면의 탄성, 점성, 소성 등 다양한 촉각 특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진동의 전파 특성을 제어하여,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촉각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햅틱스 및 메타물질 기반 연구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게임, 원격 로보틱스, 의료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촉각 피드백의 정밀도와 현실감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실제와 같은 감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세대 인터랙티브 시스템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센서 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상호작용 기술
연구실은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간의 행동, 제스처, 신체 부위 등을 정밀하게 인식하고, 이를 인공지능(AI) 모델과 결합하여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터치스크린을 통한 신체 부위 및 손 제스처 분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데이터 분석, 시선 추적 등 다양한 센싱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딥러닝, 합성곱 신경망 등 최신 AI 기술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의도와 맥락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설계에 활용됩니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센서 데이터 기반 입력 기술의 설계 및 검증 등도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연구실은 대규모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실시간 신호 처리, 센서-액추에이터 통합 등 다양한 기술적 도전을 해결하며, 실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상호작용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자연스럽게 인식하고,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지능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디지털 플랫폼, 스마트 디바이스, 헬스케어,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센서 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융합을 통해, 더욱 스마트하고 적응적인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VR interaction techniques with 3D portals
Minha
IEEE Access, 1970
2
Portallite: A Bare-Hand 3-D Portal Creation and Manipulation Technique for Remote Object Interactions in Virtual Reality
Minha Jeon, Sangkeun Park, Seungjae Oh
IEEE Access, 2025
3
An Empirical Study of User Playback Interactions and Engagement in Mobile Video Viewing
Eunho Kim, Seungjae Oh, Sangkeun Park
IEEE Access, 2025
1
성공적인 교차 기기 컴퓨팅을 위한 사용자-기기 상호인식 기술
한국연구재단
2020년 09월 ~ 2021년 0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