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The Park Research Gr

성균관대학교 소재부품융합공학과 박성준 교수

본 연구실(MMSIL, Macromolecular Materials at Surfaces and Interfaces Lab)은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고분자 및 나노소재의 표면 및 계면에서의 구조와 물성,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첨단 응용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조립을 통한 나노스케일 패터닝, 소프트 및 신축성 전자소자, 액체금속 복합체, 고분자 기반 에너지 저장 소재, 그리고 기능성 표면 코팅 등으로 매우 다양합니다. 특히, 블록 공중합체의 지향적 자기조립(DSA) 및 박막 내 미세구조 제어를 통해 반도체, 광학,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고정밀 나노패턴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표면 거칠기, 3D 기판 지형, 박막 두께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을 활용하여 미세구조 형성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며, 이를 통해 차세대 나노소재 및 기능성 표면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액체금속과 고분자 엘라스토머를 결합한 신축성 전자소자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액체금속 복합체의 미세구조 제어, 전기적/기계적 특성 향상, 대면적 제조 공정 개발 등을 통해 트리보일렉트릭 나노발전기, 신축성 센서, 스마트 텍스타일 등 혁신적인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플랫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고분자 및 유기 반도체 소재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저장 소자(슈퍼커패시터, 배터리 등)와 전기화학 촉매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분자 구조 설계, 계면 특성 향상, 전기화학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합성 및 가공 기술을 연구하며, 실제 산업적 응용 및 상용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항오염, 발수, 김서림 방지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고분자 표면 코팅 소재 개발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고기능성의 첨단 소재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적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실은 화학공학 및 재료공학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며, 미래형 나노소재 및 스마트 시스템 개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