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효현 연구실
의과대(임상교실) 안효현
안효현 연구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실로, 피부암 및 다양한 피부 종양의 진단과 치료, 피부 생물물리학적 특성 분석, 만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임상 연구 등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전국 단위의 역학조사와 임상 연구를 통해 한국인에서의 피부암 발생률, 유병률, 위험인자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피부암의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피부암의 임상적 오진 원인과 진단 정확도 향상을 위한 새로운 진단 도구 및 방법론을 개발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는 피부의 생물물리적 특성 규명과 첨단 영상 분석 기술 개발입니다. 평행편광영상, 3차원 현미경, 색채분석 등 다양한 광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피부 표면 및 진피 미세구조, 색소, 혈관, 신경섬유 등을 정밀하게 평가하고, 이를 임상 진단 및 치료 효과 평가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은 피부 질환의 객관적 진단과 맞춤형 치료, 피부 노화 및 색소질환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염증성 및 만성 피부질환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여드름, 주사, 건선, 백반증, 지루피부염 등 다양한 질환의 임상 역학, 병태생리, 치료법 개발에 집중하며, 전국 다기관 연구와 환자 코호트 분석을 통해 한국인에서의 질환 특성, 위험인자, 치료 반응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합니다. 또한, 마스크 착용 등 환경 변화가 피부질환에 미치는 영향, 최신 치료제의 효과와 안전성, 환자 만족도 및 삶의 질 개선에 대한 연구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임상 연구와 실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 진단 정확도 향상, 예방 및 조기 진단 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피부과 전문가들과의 협력 연구, 진료 가이드라인 개발, 환자 인식 개선 활동 등도 활발히 추진하여, 피부과학 분야의 발전과 환자 건강 증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안효현 연구실은 피부암, 피부 종양, 만성 피부질환, 피부 생물물리학, 첨단 영상 분석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며, 임상과 연구를 연계한 혁신적인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피부암 및 피부 종양의 진단과 치료
안효현 연구실은 피부암 및 다양한 피부 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의 피부암 발생률과 유병률을 전국 단위로 조사하여, 비흑색종 피부암, 악성 흑색종, 보웬병, 각질형성세포종 등 다양한 피부 종양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피부암 예방 및 조기 진단,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에서는 피부암의 임상적 오진 원인과 진단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임상 사진, 피부경 검사, 조직학적 분석 등 다양한 진단 도구의 효율성을 비교·평가하며, 진단의 어려움이 있는 사례에 대한 임상적 특징과 혼동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피부암의 조기 발견과 효과적인 치료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치료 측면에서는 수술적 치료 외에도 메토트렉세이트 주사, 블레오마이신 주사, 광역학 치료, 레이저 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임상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치료 후 관리, 예후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피부 생물물리학 및 영상 분석 기술 개발
연구실은 피부의 생물물리적 특성 규명과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첨단 영상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평행편광영상, 3차원 현미경, 색채분석 등 다양한 광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피부 표면 및 진피 미세구조, 색소, 혈관, 신경섬유 등을 정밀하게 평가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피부 질환의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 질환의 진행 정도와 치료 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특히, 연구실은 피부의 광학적 특성 변화와 진피 미세구조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실리콘 복제, 조직 투명화, 조직 염색 등 다양한 실험적 방법을 적용하며, 피부 노화, 색소질환, 흉터, 신경병증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합니다. 또한, 피부색과 홍채색의 상관관계, 피부 표면 미세구조와 나이의 관계 등 피부 생리학적 지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상 분석 기술은 임상 현장에서의 피부 질환 진단, 치료 효과 평가,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환자 진료와 연계하여 피부과학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염증성 및 만성 피부질환의 임상 역학 및 치료
안효현 연구실은 여드름, 주사, 건선, 백반증, 지루피부염, 피지선 질환 등 다양한 염증성 및 만성 피부질환의 임상 역학, 병태생리, 치료법 개발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국 다기관 연구, 설문조사, 환자 코호트 분석 등을 통해 한국인에서의 질환 특성, 유병률, 위험인자, 삶의 질 영향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합니다.
특히, 마스크 착용과 같은 환경 변화가 피부질환에 미치는 영향, 연령별·성별 임상 양상 차이, 치료 반응의 부위별 차이 등 실제 임상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최신 치료제(생물학적 제제, 레이저, 주사제 등)의 효과와 안전성, 환자 만족도, 장기 예후에 대한 임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예방, 환자 교육 및 삶의 질 개선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피부과 전문가들과의 협력 연구, 진료 가이드라인 개발, 환자 인식 개선 활동 등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1
Knowledge and the behavioral patterns of photoprotection among Koreans with skin disease
안효현
PHOTODERMATOLOGY PHOTOIMMUNOLOGY & PHOTOMEDICINE, 202401
2
Comparative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cutaneous adverse reactions after COVID-19 mRNA- and viral vector-based vaccines
안효현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2309
3
Three-dimensional imaging for the analysis of human epidermal melanocytes
안효현
PIGMENT CELL & MELANOMA RESEARCH, 202209
1
농인의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의료수어통역서비스 기반 마련
2
진피 미세구조가 피부광학특성에 주는 영향: 순백 피부 연구
3
피부의 생물물리적 특성 규명을 위한 평행편광영상 분석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