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Micro- and Nano-scale Thermal Fluid Lab. (MNTF Lab)

울산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전공

김보흥 교수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Nanoscale Fluidic Transport

Micro- and Nano-scale Thermal Fluid Lab. (MNTF Lab)

기계자동차공학전공 김보흥

Micro- and Nano-scale Thermal Fluid Lab(초미세열유체실험실)은 나노스케일에서의 열 및 물질 수송 현상, 계면 현상, 그리고 멀티스케일 반도체 공정 모델링을 선도적으로 연구하는 국내 대표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2023년도 국가반도체 연구실로 지정될 만큼, 반도체 및 나노공정 분야에서의 독보적인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분자동역학(MD) 시뮬레이션, 몬테카를로(DSMC), 유한요소법(FEM), 라티스 볼츠만(LBM) 등 다양한 수치해석 기법을 활용한 나노스케일 열 및 물질 수송 현상 해석입니다. 고체-액체, 고체-기체, 액체-기체 등 다양한 계면에서의 열저항, 온도 점프, 밀도 분포, 점성 변화 등 미시적 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노소재, 반도체 소자, 연료전지, 바이오센서 등 첨단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제조 공정의 초미세화에 따라 1나노미터 이하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원자 및 분자 수준의 열 및 물질 이동 현상, 계면에서의 이온 및 분자 이동, 전기이중층 형성, 전기삼투유동 등 복합적인 전기-열-유체 연성 현상에 대한 멀티스케일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연속체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나노스케일 현상을 실험적, 수치적으로 해석하고, 실제 공정 및 소자 개발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나노공정 및 반도체 제조를 위한 나노유체 공급장치, 습식 세정, 나노필름 적층 등 실질적인 공정 장비 및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특허와 산학협력, 국가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산업계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차세대 반도체, 고효율 연료전지, 나노바이오 소자 등 미래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국내외 유수 학술지 및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세계적인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Micro- and Nano-scale Thermal Fluid Lab은 나노스케일 열유체공학 분야의 이론적·실용적 발전을 이끌며, 미래 첨단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Nanoscale Fluidic Transport
나노스케일 열 및 물질 수송 현상
나노스케일에서의 열 및 물질 수송 현상은 기존의 연속체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복잡한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본 연구실은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고체-액체, 고체-기체, 액체-기체 등 다양한 계면에서의 열전달 및 물질 이동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구조 내에서의 계면 열저항(Kapitza resistance), 온도 점프, 밀도 분포, 점성 변화 등은 나노소재 및 소자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연구실에서는 그래핀, 실리콘, 구리 등 다양한 소재의 나노구조 표면에서의 열 및 물질 수송 특성을 실험적, 수치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래핀-구리 계면에서의 열저항 측정, 나노공정에서의 액체 및 기체의 흐름, 나노채널 내 이온 및 분자의 이동, 그리고 연료전지 및 반도체 공정에서의 초미세 열전달 현상 등이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나노소재의 열관리, 고효율 에너지 소자, 차세대 반도체 공정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나노스케일에서의 열 및 물질 수송 연구는 실험적 한계와 더불어 이론적·수치적 모델링의 한계도 존재합니다. 본 연구실은 분자동역학(MD), 몬테카를로(DSMC), 유한요소법(FEM), 라티스 볼츠만(LBM) 등 다양한 수치해석 기법을 융합하여, 나노스케일 현상을 다중스케일(multiscale)로 해석하고, 실험 결과와의 정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나노계면에서의 새로운 물리적 현상을 규명하고, 실제 산업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나노공정 및 반도체 제조를 위한 멀티스케일 모델링
반도체 제조 공정은 점점 더 미세화되어 1나노미터 이하의 한계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초미세 공정에서는 원자 및 분자 수준에서의 열 및 물질 이동이 공정의 품질과 효율을 좌우하게 됩니다. 본 연구실은 분자동역학 기반의 멀티스케일 모델링을 통해 반도체 공정 내에서의 원자, 분자, 나노입자 수준의 거동을 정밀하게 예측하고, 이를 연속체 수준의 공정 해석과 연계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증착, 식각, 세정, 이온 주입 등 다양한 반도체 공정 단계에서 발생하는 나노유체의 흐름, 계면에서의 이온 및 분자 이동, 전기이중층 형성, 열전달 및 물질전달 현상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반도체 소자 내에서 발생하는 불순물 이동, 열적 손상, 계면 결함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나노공정에서의 유체 공급장치, 습식 세정, 나노필름 적층 등 실질적인 공정 장비 및 기술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멀티스케일 모델링 접근법은 분자 수준의 미세 현상과 연속체 수준의 거시적 공정 해석을 통합함으로써, 기존의 실험적 접근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초미세 공정의 최적화와 신뢰성 향상에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소자, 고성능 연료전지, 나노바이오 소자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계면 현상 및 전기-열-유체 연성 현상
계면에서의 물리적, 화학적 현상은 나노스케일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는 전체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본 연구실은 고체-액체, 고체-기체, 액체-기체 등 다양한 계면에서의 열전달, 물질전달, 전기적 현상(전기이중층, 전기삼투유동 등)을 통합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공정 및 바이오센서, 연료전지 등에서 중요한 전기-열-유체 연성 현상에 대한 다중물리적 해석을 중점적으로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나노공정에서의 전기장 인가에 따른 이온 및 분자의 이동, 전기이중층 두께 변화, 유체의 점성 및 확산계수 변화, 계면에서의 열저항 및 온도 분포 변화 등을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과 연속체 모델을 결합하여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나노유체 시스템의 효율적 제어, 정밀한 이온 분리, 고성능 에너지 소자 개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계면 현상 및 연성 현상 연구는 기존의 단일 물리 현상 해석을 넘어, 전기적, 열적, 유체적 거동이 상호작용하는 복합 시스템의 거동을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다중물리적 접근을 통해, 나노스케일에서의 새로운 현상 발견과 더불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고신뢰성, 고효율 시스템 설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Pressure Dependence of Kapitza Resistance at Gold/Water and Silicon/Water Interfaces
An Pham, Murat Barisik, BoHung Kim
The Journal of Chemical Physics, 2013.12
2
Near-Surface Viscosity Effects on Capillary Rise of Water in Nanotubes
Truong Vo, Murat Barisik, BoHung Kim
Physical Review E, 2015.11
3
Transport Phenomena of Water in Molecular Fluidic Channels.
Truong Vo, BoHung Kim
Scientific Reports, 2016.09
1
스마트 수송시스템용 친환경 압전 exciter 설계 최적화
한국연구재단
2024년 05월 ~ 2024년 10월
2
분자동역학기반 1나노까지의 한계도달을 위한 멀티스케일 반도체 공정 모델링 연구(2)
한국연구재단(과기부)
2024년 ~ 2024년 12월
3
분자동역학기반 1나노까지의 한계도달을 위한 멀티스케일 반도체 공정 모델링 연구(1)
한국연구재단(과기부)
2023년 08월 ~ 2023년 12월